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oward the Void of Aberrant Time - A Deleuzean Reading of David Lynch's Lost Highway -

이용수 161

영문명
Toward the Void of Aberrant Time - A Deleuzean Reading of David Lynch's Lost Highway -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최영진(Youngjeen Choe)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8권 제1호, 189~21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5.0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데이빗 린치의 1997년 작품 <로스트 하이웨이>는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럼 극중 인물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두 개의 상이한 이야기 속으로 뒤틀어서 보여주는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서사 구조의 뒤틀림으로 인하여 이 작품은 시공간적 인과율에 근거하여 이야기를 이해하는 것에 익숙한 대다수의 비평가들로부터 많은 혹평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 영화는 일군의 라캉적 정신분석 비평가들의 관심을 끌었는데, 그들은 이 작품이 욕망과 환상이라는 두 가지 서로 분리된 일상적 영역을 본원적인 상태 그대로 나열한 탁월함을 보여준다고 주장하였다.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이론에 근거한 토드 맥고완의 분석에 의하면, 작품 속 프레드 메디슨이 속한 세계는 욕망이 억압되어있는 경험적 현실의 표면만을 드러내며, 이 세계는 역설적으로 진한 오렌지 색 톤의 실내 조명과 미니멀리스트적인 세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프레드 메디슨이 감옥 속에서 사라지면서 등장하는 피트 데이톤의 세계는 프레디 메디슨의 욕망을 온전하게 대체시켜놓은 환상의 세계이며, 이 환상의 세계는 그것의 근원이 되는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운 하나의 독립적인 현실 영역으로 표현된다. 슬라보브 지젝 역시 이 작품에 대하여, 피트 데이톤의 세계가 다양한 환상영역들을 어떤 현실적인 욕망의 억압과정이 없이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는 관점을 취한다. <로스트 하이웨이>에 대한 이러한 정신분석학적 접근은 매우 자세한 인물분석을 통하여 접근 불가능한 듯 보이는 작품 구조를 매끄럽게 해석해내는 긍정적 측면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기억 불가능성으로 인하여 분리된 두 개의 몸을 하나의 몸이 가진 여러 양상으로 설명함으로써 여전히 기존의 인과율적 논리로 작품의 서사구조를 접근하는 한계를 드러내기도 한다. 이 논리에 따르자면, 피트 데이톤이란 인물은 프레디 메디슨의 환상이 빚어낸 하나의 허구적 존재이며, 또한 작품 속의 또 다른 인물 미스테리 맨 역시 프레디 메디슨의 ‘초자아’(superego)적 인물로 해석됨으로써, 이 세 인물 모두가 하나의 동일한 주체에 대한 재현물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확보된 주체의 자기 동일성은 작품속 양립할 수 없을 듯 보이는 두 세계를 매끄럽게 연결시켜주는 강력한 논리적 준거점으로서 작용한다. 질 들뢰즈는 이러한 자기 동일성의 확인과정으로서의 서사 전개과정을 벗어난 영화 작품들에 대한 논의를 그의 두 번째 영화 연구서에서 시도하는데, 그에 의하면, 본격적으로 시간 개념을 다루는 영화는 주체의 자기 동일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존재”(being)로서가 아니라 매 단계마다 변화하는 주체의 “차이”(difference)를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생성”(becoming)을 매개로 그 이미지를 구성하게 된다. 들뢰즈는 이렇듯 “주체의 타자적 생성과정” (becoming other in identity)으로 표현된 이미지를 “계열 이미지” (serial image)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각 계열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탈중심적 힘” (the power of the false)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들뢰즈의 생각과 <로스트 하이웨이>를 연관시켜 볼 때, 프레드와 피트가 구성하는 두 세계는 하나의 “존재”속에 머물고 있는 두 양상을 재확인시켜주는 자기 동일적 모습으로서가 아니라, 양립할 수 없는 두 계열을 서로 “생성”하고 “배열”해내는 관계를 보여주며, 미스테리 맨이라는 인물은 이러한 계열적 관계 사이에 작용하는 탈중심적 힘을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영문 초록

목차

1
2
3
4
Works Cited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진(Youngjeen Choe). (2003).Toward the Void of Aberrant Time - A Deleuzean Reading of David Lynch's Lost Highway -. 비평과 이론, 8 (1), 189-213

MLA

최영진(Youngjeen Choe). "Toward the Void of Aberrant Time - A Deleuzean Reading of David Lynch's Lost Highway -." 비평과 이론, 8.1(2003): 189-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