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美國憲法上 選擧制度에 관한 硏究

이용수 181

영문명
A Study on the Electoral System in the U.S. Constitution
발행기관
한국헌법학회
저자명
김래영(Kim Rae-Young) 강승식(Kang Seung-Sik)
간행물 정보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11卷 第4號, 49~103쪽, 전체 55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01
9,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미국헌법상 선거제도를 포괄적으로 분석하는 글이다. 미국은 우리와 같은 대통령제국가이며, 선거구획정이나 선거운동분야에서는 이미 우리나라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미국이 모범적으로 정착시켜온 예비선거제도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논의되는 상향식 공천제도의 모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미국의 선거제도는 우리나라의 바람직한 선거제도 정착에 하나의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에 미국에서 제기되어온 선거제도에 관한 쟁점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선거권의 주체와 범위를 어떻게 정할 것인가? 둘째, 어떠한 정치적 관점에 입각하여 대의제를 정의하고 운영할 것인가? 셋째, 공정성과 효율성의 관점에서 대의제는 개인의 의사 뿐 만 아니라 집단의 의사도 반영해야 하는가? 넷째, 제한된 범위에서나마 소수인종에게 의석이 배분되는 것은 그들의 당연한 정치적 권리인가? 다섯째, 선거구획정의 목적은 과연 무엇인가? 여섯째, 정당간의 경쟁을 극대화하여야 하는가? 일곱째, 대의제를 정치적 공동체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볼 것인가? 이 글에서는 이러한 쟁점들을 미국연방대법원 판례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영문 초록

In recent decades, the U.S. Supreme Court has steadily expanded its vigilance over the electoral process and features of U.S. formal democracy. Bush v. Gore, the controversial case that decided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2000, is the most dramatic example of the board reading the Court has given to specified clauses of the U.S. Constitution and to its own role in the American political process. That the presidential election was resolved judicially instead of politically triggered a major national debate not only over what the constitution means, but also over who should interpret it. The cases featured in this article prompt several important queries about the nature of American polity. Who are the people entitled to vote for political representatives? What vision of the body politic should inform the scope and meaning of representation? Does fair and effective representation include group as well as individual voting rights? Are minority communities entitled as a matter of right to a limited number of legislative seats? What is the purpose of legislative apportionment? To maximize party competition? To insure the representation of organic or natural communities held together by common values and interests? Or to construct political communities marked by diversity and heterogeneity? These queries raise related issues of U.S. constitutional design, ones we explore along the way by examining the U.S. Constitution's electoral structures in the light of democratic theory.

목차

Ⅰ. 序論
Ⅱ. 美國憲法上 選擧制度 一般論 : 憲法的 槪觀
Ⅲ. 選擧區劃定
Ⅳ. 政黨과 選擧
Ⅴ. 大統領選擧制度의 問題點
Ⅵ. 結論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래영(Kim Rae-Young),강승식(Kang Seung-Sik). (2005).美國憲法上 選擧制度에 관한 硏究. 헌법학연구, 11 (4), 49-103

MLA

김래영(Kim Rae-Young),강승식(Kang Seung-Sik). "美國憲法上 選擧制度에 관한 硏究." 헌법학연구, 11.4(2005): 49-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