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치부 개방교합의 진단 및 치료
이용수 0
- 영문명
- Anterior open-bite: Diagnosis & treatment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두개안면기형연구소
- 저자명
- 최윤정
- 간행물 정보
- 『연세임상교정』제25권 제1호, 81~8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치부 개방교합은 치료도 어렵고 재발률도 높은 대표적인 부정교합이다. 손가락 빨기나 커다란 혀와 같은 국소적 원인부터 장안모를 동반한 전안면부 수직 과잉에 의한 골격적 문제까지 다양한 원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관찰되는 형태적 특징에 따라 골격성 전치부 개방교합과 치성 전치부 개방교합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골격성인 경우 장안모와 이로 인한 입술 기능 부전을 동반하는 반면, 치성 전치부 개방교합인 경우 안모 형태와 무관하게 나타날 수 있다. 골격성 전치부 개방교합은 후안면고경/전안면고경의 비율이 작고, 전안면고경 중 하안면 고경이 특징적으로 길며, Y-axis angle, gonial angle, mandibular plane angle 값이 크게 나타난다. 치성 전치부 개방교합인 경우, 이러한 골격성 수치는 정상 범위이나, 전치부 수직피개(overbite)만 음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하며, interincisal angle, dental height, occlusal plane angle 등과 관련된 특징이 보고되기도 하였으나 일관된 결과가 보고되지는 않았다. 전치부 개방교합의 치료는 환자의 골격성, 치성 문제 및 상악 전치부의 노출량, 심미적 요구 정도에 따라 수술을 동반하여 치료할 수도 있고, 수술 없이 교정치료만으로 치료할 수도 있다. 수술의 경우 상악의 posterior impaction을 통해 하악의 회전을 유도함으로써 전치부 개방교합을 해결하게 된다. 교정치료만으로 전치부 개방교합을 개선할 때에는 하악골의 회전 없이 전치를 정출시키거나, 구치를 압하시킴으로써 하악골을 회전시켜 치료하게 된다. 어떠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더라도 교합평면의 변화를 동반하여야 전치부 개방교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므로 교합평면에 대한 정의와 분석이 진단의 첫걸음이 될 것이다.치료 방법의 선택에 있어서 대부분의 환자는 심리적, 경제적 부담이 낮은 비수술적 방법을 선호한다. 다수의 전치부 개방교합 환자는 장안모 문제를 동반하고 있기 때문에 전치부 정출보다는 교정용 미니스크류를 이용하여 구치부 압하를 통해 치료하게 된다. 수술 없이 구치부를 압하하여 하악이 전상방으로 회전하게 되면 악골 및 치열의 수직적 관계뿐만 아니라 시상적 관계도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구치부 압하량에 따른 하악의 이동에 대한 정량화된 자료를 바탕으로 악골 및 치열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진단 및 치료에 이용해야 할 것이다. 구치부 압하는 정상적인 치주조직을 가지고 있는 치아를 치조골 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치주조직의 변화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압하된 위치에 맞게 치주인대 및 치조골, 치은 조직이 재형성되지 않으면 자칫 치아가 치주조직에 파묻히는 결과가 될 수도 있으며, 치아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구치부 압하 및 유지 기간 후의 치주조직의 변화를 평가하여 교정치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안정적인 결과를 유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원고에서는 그동안 저자가 게재하였던 논문을 바탕으로 전치부 개방교합에서 교합평면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구치부 압하를 통해 치료할 때 하악골의 회전에 대한 정량화된 지표를 소개할 것이다. 또한 구치부 압하 이후의 치주조직 변화를 치은, 치조골, 치근 흡수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소개함으로써 구치부 압하를 통해 전치부 개방교합을 치료할 때 부작용 없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결과를 얻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nterior open-bite (AOB) is challenging to treat, and its relapse rate is reported high. There have been many etiologic factors, such as finger sucking and macroglossia for local factors and vertical excess with long face for skeletal factors. AOB can be divided into skeletal and dental AOB according to morphologic features from a lateral cephalogram. Skeletal AOB usually exhibits long face and lip incompetency, while dental AOB is observed without these features. Skeletal AOB shows small posterior/anterior facial height ratio, long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increases in Y-axis angle, gonial angle, and mandibular plane angle. Dental AOB indicates negative value of overbite with normal values of skeletal measurements. There have been reports for dental AOB including interincisal angle, dental height, and occlusal plane angle, which are still controversial. AOB can be treated surgically or non-surgically according to skeletal and dental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the extent of the maxillary incisor exposure, and esthetic needs of patients. In case of surgical approach, AOB is corrected by mandibular rotation following posterior impaction of the maxilla. In case of non-surgical treatment, AOB can be corrected by incisal extrusion or molar intrusion with mandibular autorotation. Regardless of treatment modality selected, changes in the occlusal plane is essential part of AOB treatment. Therefore, definition and analysis for the occlusal plane would be the first step for AOB treatment. Non-surgical treatment is preferred because of low economic and surgical burdens. In non-surgical approach, molar intrusion with aid of orthodontic miniscrews rather than anterior extrusion is performed to resolve AOB because most patients accompany long face problem. When the mandible rotates after molar intrusion, skeletal and dental relationships between the maxilla and mandible would be changed in terms of both sagittal and vertical planes. Therefore, prediction of skeletal and dental changes according to the extent of molar intrusion based on quantified data should be use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for AOB patients. When molar intrusion is performed for AOB correction, remodeling of the periodontal tissue needs to be followed because the teeth which have been surrounded by normal periodontium move to the alveolar bone. If the periodontal ligament, alveolar bone, and gingival tissue are not remodeled for the intruded molars, the teeth may be embedded to the periodontal tissue, which can affect stability of the trea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changes in the periodontal tissue after molar intrusion and retention following intrusion, which would be helpful to prevent any possible side effects and to yield stable outcomes. This manuscript will provide diagnostic criteria for the occlusal plane in AOB and quantified cephalometric values for prediction of mandibular rotation following molar intrusion. Periodontal changes after molar intrusion in terms of the gingiva, alveolar bone, and root resorption will also be covered to obtain stable and predictable treatment outcomes.
목차
I. 전치부 개방교합에서 교합평면의 분류
II. 전치부 개방교합 개선을 위한 상악 구치 압하 시 하악골의 이동 양상
III. 상악 구치 압하 후 치주 조직의 변화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