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I급 부정교합의 절충치료를 위한 midpalatal miniscrew와 miniplate의 적용
이용수 0
- 영문명
- Class II camouflage treatment using midpalatal miniscrew or miniplate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두개안면기형연구소
- 저자명
- 이정섭
- 간행물 정보
- 『연세임상교정』제25권 제1호, 89~9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6/1068591.jpg)
국문 초록
II급 부정교합을 절충치료하는 방법으로는 II급 악간고무줄을 사용하거나 소구치 발치 후 고정원을 조절하는 것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II급 악간고무줄은 상악 구치의 정출이나 하악 전치의 순측 경사 등 원하지 않는 치아이동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치료의 성공 여부가 환자의 협조도에 의존한다는 단점이 있다. 발치 교정치료를 통해 II급 관계의 교합을 절충치료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II급 악간고무줄은 여러 부작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절충치료를 위해 흔히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악 구치가 발치공간으로 전방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골격성 고정원을 보강하는 술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만약 골격성 고정원이 신뢰할 수 있는 절대적 고정을 제공한다면 II급 관계의 절충을 위한 발치치료는 더 이상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골격성 고정원을 사용하여 상악 전 치열을 후방이동하는 술식이 II급 절충치료를 위한 또 하나의 술식이다. 전 치열을 후방이동하기 위한 골격성 고정원은 강한 힘(24dental root×50gm=1020gm)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치아이동에 방해가 되는 치근으로부터 떨어져 있어야 하고, 골격성 고정원의 성패에 의존하는 치료계획에 항상 안정적인 고정원을 제공해야 한다. 전 치열 이동을 위한 골격성 고정원으로 다수의 미니스크류를 사용하여 힘을 분산해서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사용하는 미니스크류의 개수가 많을수록 하나 이상의 미니스크류가 탈락하는 환자의 비율은 증가할 것이므로, 골격성 고정원 식립의 개수를 줄이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영문 초록
Class II camouflage treatment can be done in several ways, which are Class II elastics and premolar extraction with differential anchor control. However, Class II elastics can cause some unwanted tooth movement such as extrusion of maxillary molars or labial tipping of mandibular incisors. Moreover, success of treatment depends on patient’s cooperation. Extraction treatment can provide space for camouflaging Class II dental key. Class II elastics are commonly used for camouflage treatment in spite of several side effects. Recently, TADs (temporary anchorage devices) are widely used to reinforce maxillary anchorage in order to prevent maxillary molar movement towards extraction space. Camouflage treatment involving premolar extractions can be no longer needed if reliable TADs with absolute anchorage are available. Total arch retraction of maxillary dentition using TADs is another useful Class II camouflage treatment. TADs for total arch retraction must be strong enough to endure heavy force (24dental roots×50gm=1020gm), distant from dentition not to interfere the progress of tooth movement, and in all times reliable for TADs dependent treatment plan. It has been common to use several miniscrews for total arch movement, because they need to endure a heavy force and they cannot convince the stability at TAD dependent treatment plans. The more the number of miniscrews used for TAD dependent treatment, the more failure case rate will be. In general, it is rational to reduce the number of TADS in order to prevent implantation of TADs. Moreover, the location of TADs must be thoroughly considered for total arch retraction.
목차
서론
상악의 전 치열 후방이동은 위한 골격성 고정원의 식립 부위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Vocal Warm-Up Exercises among School Teachers-A Survey
-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Hearing Aids with the Revised Age-Related Hearing Loss Questionnaire
- The Effect of Phonological Knowledge-Based Writing Intervention on the Spelling Knowledge and Phonological Awarenes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