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피드백추구행동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실증 연구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feedback-seeking behavior: Focusing on Korean empirical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김광우 김우철 조현정 설웅환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6권 제4호, 1~56쪽, 전체 5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9,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피드백추구행동에 관한 실증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동향과 특징을 도출하고,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4년 9월까지 발표된 KCI 등재 및 후보 학술지 논문을 PRISMA 지침에 따라 선정하여 총 47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드백추구행동에 관한 연구는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경영학, 교육학, 심리학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에 사용된 피드백추구행동 측정 도구는 기존 연구를 변형하거나 맥락에 맞게 재구성된 경우가 많았으며, 일부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되었다. 셋째, 피드백추구행동은 독립변인, 매개변인, 종속변인으로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독립변인으로서 피드백추구행동은 혁신행동, 직무만족, 직무성과 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매개변인으로서 리더십 및 조직 환경과 결과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종속변인으로서는 리더십 스타일, 조직문화, 개인적 특성이 주요 선행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피드백추구행동 연구의 통합적 이해를 통해 이론적 기여를 제공하며, 조직 내 피드백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문화적 맥락, 새로운 도구 개발, 장기적 효과분석 등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quantitative research on feedback-seeking behavior (FSB) in Korea to identify trend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llowing the PRISMA guidelines, 47 articles published in KCI-listed and candidate journals until September 2024 were sele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FSB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11 with active exploration in the fields of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psychology. Second, measurement tools for FSB are often adapted or reconstructed to fit specific contexts, although some require further refinement in reliability and validity. Third, FSB was utilized as an independent, mediating, and dependent variable. As an independent variable, FSB positively influences innovation behavior,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s a mediating variable, FSB linked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to performance and creative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FSB was influenced by leadership style,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FSB and highlights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feedback management in organizations.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cultural contexts, develop improved tools, and examine long-term effects in diverse organizational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시대적 사고를 반영한 발터 벤야민의 예술론과 연극교육론
-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지속가능한 패션소비 동향 분석
- 가정 교과의 지역사회 연계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 준거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