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령 임금근로자의 고용촉진 정책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lder workers’ perceptions of employment promotion policies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영 박윤희 김지수 송영주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6권 제4호, 57~9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고령 임금근로자의 연령에 따라 고용촉진 정책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고용촉진 정책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8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서 55-79세의 고령자 중 경제활동상태가 임금근로자로 분류된 총 1,097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카이제곱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 임금근로자의 연령에 따라 임금피크제, 계속고용제도, 재취업 교육훈련 정책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 연령에서 이러한 고용촉진 정책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응답자의 절반 이하로 저조한 수치를 보였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인식 가능성은 더 낮았다. 둘째, 고령 임금근로자의 계속고용 및 재취업 활성화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은 ‘임금체계 개편 및 임금피크제 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인사노무컨설팅 지원과 고용에 금전적 지원’ 등 순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고령 임금근로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고용만족도 요인이 고용촉진 정책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남성보다 여성이 모든 고용촉진 정책에 관한 인식 가능성이 높았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배우자 유무와 고용만족도 요인 중 임금만족도는 고용촉진정책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promotion policies according to the age of older worker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promotion polici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097 respondents who were classified as workers among the elderly aged 55 to 79 in the 8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chi-square test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he wage peak system, continuous employment system, and re-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policies by age of older workers were recognized at a low rate of less than half among all age groups, and the older the age, the lower the possibility of recognition. Second, as for the policy support needed for the continued employment and re-employment of older workers, the wage system reform and wage peak system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followed by personnel and labor consulting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for employment. Third, older women workers were more likely to recognize all employment promotion policies than me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ouse and wage satisfaction did not affect the possibility of policy recogni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시대적 사고를 반영한 발터 벤야민의 예술론과 연극교육론
-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지속가능한 패션소비 동향 분석
- 가정 교과의 지역사회 연계 내용분석을 위한 분석 준거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