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비문학에서 노인 여성의 형상과 역할 - <팥죽할멈>과 <마고할미>에서 일상 세계의 기호로서의 ‘할머니’ -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presentation and Role of Elderly Women in Oral Literature: Grandmothers as Symbols of the Everyday World in Patjuk Halmeum and Mago Halmi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유정월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75집, 125~1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구비문학에서 여성 노인에 대한 연구가 취약하며, 그마저도 ‘대모신’ 연구에 많이 집중되어 있다는 한계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는 종교(민속)의 논리 대신 내재적 관점(등장인물과 이야기 생산자-참여자의 관점)에서 ‘할머니’와 그 세계를 파악함으로써 ‘할머니는 어디에 있으며(2장), 무엇을 하는가(3장), 그리고 그 효과는 무엇인가 (4장, 5장)’ 밝히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할머니가 스토리 세계에서 주요한 인물로 등장하는 <팔죽할멈>과 <마고할미>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 두 이야기 유형과 비교하기 위해 부수적으로 <다자구 할머니>를 참조한다. 이 두 이야기에서 여성 노인은 비교적 제한된 이동성을 보인다. 그들은 집과 마을 혹은 일정한 장소에 오랜 시간 존재한다. 그들은 한 곳에서 지속적, 습관적 행위를 하며, 그 과정과 결과가 세계에 구현되어 남는데, 여기에서는 이를 ‘두터운 침전’이라 명명한다. 이때 시간은 그저 흐르는 것이 아니라 사물과 관계를 만들고, 지형물을 형성한다. 팥죽할멈은 음식을 만들고 그것을 수여하는 일상적 행위를 통해 사물들을 협력하게 하고 결국에는 호랑이를 물리친다. 마고할미는 거인신, 창조신 등으로, 신성한 자질을 가진 존재로 인식되지만 그녀는 초월적 능력이 아닌, 몸을 토대로 하는 노동과 일상적 배설 행위를 통해 창조를 행한다. 이들은 습관적, 반복적 신체 활동, 즉 물질성에 기반해 대상과 상호작용을 하고, 결과적으로 위기를 모면하거나 자연을 바꾼다. 여성 노인이 주되게 등장하는 이 두 설화에서 보건대, 이들은 오랜 시간 살아온 장소를 바탕으로, 자신의 육체를 통해 물질과 자연에 작용을 가한다. 할머니는 대상과 긴 시간 관계를 맺으며 대상을 변화시키고 그 결과 자신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이는 소극성/적극성의 구분을 해체하기에, ‘하지 않으나 하는 존재’라는 표현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두 설화에서 여성 노인은 일상 세계에 존재하면서 물질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현실을 바꾸는 일상성의 기호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research on elderly women in oral literature is sparse, with many of the existing studies overly focused on the concept of the “great mother goddess”. In response, this study explores the world of “grandmothers” from an intrinsic perspective —focusing on the characters, the story creators, and participants—rather than from the logic of religion(or folklore). It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Where are grandmothers(Chapter 2)? What do they do(Chapter 3)? What are the effects of their actions(Chapters 4 and 5)?” This study selects two stories, Patjuk Halmeum and Mago Halmi, in which grandmothers appear as central figures in the narrative world. To compare the two narrative types, the study also references The Grandmother of Dajagu(Dajagu Halmeum). In these two stories, the elderly women exhibited relatively limited mobility. They have remain in the confines of their homes, villages, or fixed locations for extended periods. In these places, they engage in continuous, habitual activities, the processes and outcomes of which are embedded in the text. This phenomenon is referred to here as “thick sedimentation”. The thick sedimentation is not merely the passage of time, but involves forming relationships with objects and shaping the environment. For instance, the grandmother in Patjuk Halmeum mobilizes objects through her habitual act of making and sharing food, ultimately defeating the tiger. In Mago Halmi, while the character is recognized as a divine being —such as a giant goddess or creator deity—her creative acts are rooted in mundane, physical activities such as labor and excretion, rather than transcendent powers. Through habitual and repetitive bodily actions, these women interact with objects and materials, overcome crises and alter their natural world. In these two folktales in which elderly women are prominent, they act upon matter and nature through their prolonged connection to the places where they have lived. Grandmothers form long-term relationships with objects, transforming them, and transforming themselves. This dynamic challenges the dichotomy of passivity and activity, best described by the phrase “being that does without doing.” In these stories, the elderly women are symbols of everyday existence, transforming themselves and their surrounding realities through material interactions within the quotidian world.
목차
1. 서론
2. 이동성의 제한과 두터운 침전
3. 대상과의 상호작용과 물질성
4. 일상 세계를 작동시키는 기호
5. 결론을 대신하며-전형의 확대와 경계의 인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비문학 관계 영서 서평 목록
- 1960년 전후에 발생된 북한 옛이야기집의 변화 양상에 대한 고찰 - 조선작가동맹과 과학원의 자료집을 중심으로 -
- 구비문학에서 노인 여성의 형상과 역할 - <팥죽할멈>과 <마고할미>에서 일상 세계의 기호로서의 ‘할머니’ -
- 한국과 남미 원주민 구전설화의 비교문학적 탐색 - 우주관을 중심으로 -
- 명창 박기홍의 삶과 <춘향가>의 특징
- 아버지로부터 내쳐지는 딸과 아버지를 받아들이는 딸의 의미 모색 - <내 복에 산다>를 중심으로 -
- <장끼전>에 나타난 까투리의 애도 과정 연구 - ‘이중 과정 모형’을 중심으로 -
- 유전자 혈통 검사 결과 확인 동영상을 통한 민족 서사 재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