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고학년의 초기부적응도식, 긍정심리자본, 자기표현력 및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9

영문명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arly Maladaptive Schema,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xpression, and Career Maturity in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재활심리학회
저자명
백서호 김장회
간행물 정보
『재활심리연구』제31권 제4호, 159~17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초기부적응도식, 긍정심리자본, 자기표현력 및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진로성숙을 저해하는 초기부적응도식에 대한 긍정심리자본 및 자기표현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 및 보호자 동의가 확인된 5~6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데이터분석 프로그램 R 및 JAMOVI를 사용하여 39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기부적응도식은 초등 고학년생의 진로성숙도, 긍정심리자본, 그리고 자기표현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긍정심리자본과 자기표현력은 초등 고학년생의 진로성숙도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초기부적응도식의 영향을 긍정적으로 상쇄시키는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긍정심리자본과 자기표현력이 순차적으로 매개함으로써 초기부적응도식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효과도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의 초기부적응도식에 대한 이해와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자본 및 자기표현력 증진의 필요성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접근의 이점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xpression ability, and career maturity among upper elementary students. It also examined wheth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expression mediate the negative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career matur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394 5thand6thgraders. Analysis using R and JAMOVI showed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s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expression. Howev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expression served as mediators, offsetting the negative influence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career maturity. Furthermore, these factors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fully mitigating the adverse impact on career maturity.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foster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expression to enhance career maturity in upper elementary students. The study’s benefits and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서호,김장회. (2024).초등학교 고학년의 초기부적응도식, 긍정심리자본, 자기표현력 및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 재활심리연구, 31 (4), 159-178

MLA

백서호,김장회. "초등학교 고학년의 초기부적응도식, 긍정심리자본, 자기표현력 및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 재활심리연구, 31.4(2024): 159-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