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1
- 영문명
- The Impact of Covert Narcissism on Somatization in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정지원 김영근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1권 제4호, 127~1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남녀 대학생 36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연구에 적합한 316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7.0로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검증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 4.2 Model 6을 통해 부트스트랩 방법으로 유의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내현적 자기애가 신체화에 미치는 직접 효과를 확인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신체화 사이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신체화 사이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신체화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matization in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administrated to 362 college students, with 316 responses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6. The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s: First, the direct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somatiz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matization was confirmed. Third, a full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was found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matization. Fourth,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emotional express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matization were confirm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고학년의 초기부적응도식, 긍정심리자본, 자기표현력 및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
- 모바일 기반 정신건강 앱(MHapp)의 현황과 기능 분석 : IOS기반 앱을 중심으로
- 부상 경험이 있는 운동선수의 부상 인지 및 운동열의가 선수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혼한 아버지들의 자녀 학대 경험과 회복에 관한 사례연구
- 노년기 외상후 재경험 및 우울 증상과 신경인지 기능의 관계: 한국전쟁 민간인 학살을 경험한 생존자와 유가족을 중심으로
-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대상욕구의 매개효과
- 발달장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 낙관성과 가족건강성의 조절 효과
- 상담자의 중년 남성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 침습적 및 의도적 반추와 자기비난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 KCI 등재 이후 재활심리연구의 계량서지학적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인천대학교 대학생활상담센터 사업 체계 구축 및 운영 사례
- 수성대학교 학생상담센터 PERSON모형과 비교과 연계 심리체계모형
- 대학생 조기 대학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활용 사례 연구: 인덕대학교 The 모노 또래 멘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