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KCI 등재 이후 재활심리연구의 계량서지학적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12

영문명
Analysis of Bibliometric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after KCI Registration
발행기관
한국재활심리학회
저자명
권유미 최양규
간행물 정보
『재활심리연구』제31권 제4호, 145~15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VOSviewer를 활용하여 2011년부터 2024년까지 재활심리연구에 게재된 총 476편의 논문들의 서지정보를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국내 재활심리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재활심리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에 대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국내 재활심리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2011년부터 2024년까지 전체 기간의 논문들에서 공감능력, 연구동향, 사회적 지지, 사회불안, 마음챙김, 자기자비, 자기효능감, 청소년, 삶의 질, 외상 후 성장, 대학생, 자아탄력성, 성인애착, 삶의 만족도 등이 고빈도 키워드로 출현하였다. 둘째, 전반기(2011~2017) 7년간의 논문들에서는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청소년, 문제행동, 부모양육태도, 우울, 노인 등의 키워드가 고빈도로 출현한 반면, 후반기(2018~2024) 7년 동안에는 우울, 정서조절곤란,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불안, 성인애착, 외상 후 성장, 타당화, 대학생, 자기효능감 등이 고빈도 키워드로 나타났다. 특히 전․후반기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출현빈도를 보이는 키워드는 ‘우울’이었다. 이는 ‘우울’이 국내 재활심리연구의 주요 연구 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계량서지학적 분석 도구 중의 하나인 VOSviewer를 활용하여 키워드의 출현빈도 및 동시출현빈도 분석을 통해 재활심리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을 시도한 첫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bibliographic analysis of 476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from 2011 to 2024, using data extracted from the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 (KCI) database. A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a flagship academic journal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in Kore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keywords such as empathy, research trends, social support, social anxiety, mindfulness, self-compassion, self-efficacy, adolescents, quality of life, post-traumatic growth, college students, self-resilience, adult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appeared frequently across the entire period (2011-2024). Second, a temporal comparison revealed differences in research focus: between 2011 and 2017, keywords such as social support, self-esteem,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parenting attitudes, depression, and the elderly were prominent. From 2018 to 2024, frequent keywords included depression, emotional dysregulation, internalized shame, social anxiety, adult attachment, post-traumatic growth, validation, college students, and self-efficacy. Notably, depression consistently emerged as a high frequency keyword across both time periods, underscoring its significance as a central research topic in rehabilitation psychology in Korea. This study is among the first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using VOSviewer, a modern tool for quantitative bibliographic analysis. By examining the frequency and co-occurrence of keywords,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evolving focus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scholarship in Korea.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유미,최양규. (2024).KCI 등재 이후 재활심리연구의 계량서지학적 연구 동향 분석. 재활심리연구, 31 (4), 145-157

MLA

권유미,최양규. "KCI 등재 이후 재활심리연구의 계량서지학적 연구 동향 분석." 재활심리연구, 31.4(2024): 145-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