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 낙관성과 가족건강성의 조절 효과
이용수 5
- 영문명
-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Moderating Effect of Optimism and Family Strength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김은주 박중규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31권 제4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스트레스의 완화요인을 밝히기 위해 발달장애아의 3가지 문제행동(자해행동, 상동행동, 공격적/파괴적 행동)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낙관성과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발달장애아(지적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어머니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녀의 문제행동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낙관성과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문제행동 중 자해행동이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반면, 상동행동과 공격적/파괴적 행동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낙관성과 가족건강성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문제행동 유형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변인이 상이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문제행동 중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 요인의 변화만으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과 그렇지 않은 변인이 있음을 실증한 의의가 있다. 단, 본 연구 결과는 후속 연구에서 반복검증을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고, 문제행동의 유형과 심각성에 따라 양육자의 스트레스 양상을 파악하고 도움을 제공하기 위한 개입 방안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stress and mitigating factors for mothers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moderating effects of optimism and family health were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behaviors (Self-injurious behavior, Stereotyped Behavior, Aggressive/Disruptive Behavior)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03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optimism and family streng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njurious behavior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However, no moderating effect of optimism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ereotyped behavior or aggressive/disruptive behavior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This result suggests that variable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problem behavior,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ttitude factors in managing stress associated with different problem behaviors. Nevertheless, these results require further validation through repeated studies, an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caregiver stress patterns and to tailor interventions based on the type and severity of problematic behaviors.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고학년의 초기부적응도식, 긍정심리자본, 자기표현력 및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
- 모바일 기반 정신건강 앱(MHapp)의 현황과 기능 분석 : IOS기반 앱을 중심으로
- 부상 경험이 있는 운동선수의 부상 인지 및 운동열의가 선수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혼한 아버지들의 자녀 학대 경험과 회복에 관한 사례연구
- 노년기 외상후 재경험 및 우울 증상과 신경인지 기능의 관계: 한국전쟁 민간인 학살을 경험한 생존자와 유가족을 중심으로
-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대상욕구의 매개효과
- 발달장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 낙관성과 가족건강성의 조절 효과
- 상담자의 중년 남성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 침습적 및 의도적 반추와 자기비난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 KCI 등재 이후 재활심리연구의 계량서지학적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인천대학교 대학생활상담센터 사업 체계 구축 및 운영 사례
- 수성대학교 학생상담센터 PERSON모형과 비교과 연계 심리체계모형
- 대학생 조기 대학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활용 사례 연구: 인덕대학교 The 모노 또래 멘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