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학점제에 따른 일반고 학생 과목 선택에 대한 만족도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the Subject Selection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김은미 임영근 이순범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20권 제3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고교학점제에 따른 일반고 학생 과목 선택에 대한 만족도 분석을목적으로 한다.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앞두고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 을 위해서는 이를 실제로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의 만족도가 어떠한지 분석해 불 필요가 있다. 이에 고교학점제를 적용받고 있는 G시 일반고 2학년 761 명을 대상으로 성별, 선택 계열별, 학업성취도별 개인차에 따른 과목 선택의 자율성, 목적성,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택 기준 척도 요인의 평균 점수에서 타자권유가 가장 낮고 진로 개척이 가장 높게 나타나 선 택의 자율성 정도는 과목 선택 기준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성별과 학업성취도별 개인차에 따른 만족도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 성별에서 과목 선택 기준과는 달리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다 양한 개인차를 고려한 맞춥형 과목 선택 만족도 제고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 댜 과목 선택의 목적성 관점에서 선택의 자율성과 다양성은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과목 선택의 지도와 만족도 제고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과목 선택의 내재적 동기의 자율성, 목적성과 다양성을 분석함으로써, 과목 선택 만족도 제 고 방안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ith subject selection according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ystem ahead of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5,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who are actually experiencing it.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on 761 second-year students of G city's general high school, who are subject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king abou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autonomy, purpose, and diversity of subject sele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s by gender, selection seri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average score of the selection criteria scale factor, the recommendation of others was the lowest and career development was the highest, and the degree of autonomy of choice was analyzed a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subject selection criteria and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s by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Unlike the subject selection criteria in gend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can confirm the necessity of enhancing customized subject selection satisfaction in consideration of various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the purpose of subject selection, autonomy and diversity of choice can be a way to guide and improve satisfaction in subject selection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students. By analyzing the autonomy of intrinsic motivation, purpose, and diversity for subject selection,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enhancing subject selection satisfaction were discussed.
목차
I .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 논의가 교육학에 주는 함의 - 버틀러의 이론을 중심으로
- 훔볼트(W. v. Humboldt)와 듀이(J. Dewey) 교육사상의 비교를 통한 다양성의 논점들
- 무아(無我)에 대한 신경과학적 성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