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관점으로 본 체육 학습 공간에 관한 이해

이용수 0

영문명
Understanding Physical Education Learning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ducator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이대형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4권 제4호, 49~6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관점에서 체육 학습 공간의 역할과 구조 및 문화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자료는 연구자의 공간일지와 연구 참여자의 자극회상 질문지를 활용하여 수집하였고, 귀납적 범주 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 학습 공간의 역할은 학습 경험의 장소: 학습 공간, 움직임과 도전의 장소: 개인적 공간, 공존과 관계성의 장소: 사회적 공간 그리고 평생교육의 장소: 확장적 공간으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체육 학습 공간의 구조는 수평적 공간의 구조: 다양한 학습 내용을 공유하는 공간, 수직적 공간의 구조: 공동체적 학습 공간 등으로 나타났다. 학습 공간의 문화적 의미는 만남의 장소, 배움의 장소 그리고 펼침의 장소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이 연구는 체육 학습 공간에 관한 장소적 특징과 학습 공간 속 학습자의 움직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ole, structure, and cultural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learning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 educators.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researcher’s learning space diary and the participant’s stimulated recall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and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learning space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learning space (a place for learning experiences), personal space (a place for movement and challenge), social space (a place for coexistence and relationships), and expansive space (a place for lifelong education). Second, the structure of the physical education learning space was shown to be a horizontal space structure (a space for sharing various learning contents) and a vertical space structure (a community learning space). The cultural meaning of the learning space was derived as a place of meeting, learning, and unfolding.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learning spaces and the movements of learners within learning spa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학습 공간에 관한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대형. (2024).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관점으로 본 체육 학습 공간에 관한 이해. 교육논총, 44 (4), 49-60

MLA

이대형.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관점으로 본 체육 학습 공간에 관한 이해." 교육논총, 44.4(2024): 49-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