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지원에 대한 장애아 부모의 인식 및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garding Family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오혜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5권 제3호, 165~1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가족지원에 대한 장애아 부모들의 인식과 경험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아 부모 3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들은 가족지원이란 장애아의 조기진단을 통한 조기교육부터 생애주기별 필요한 교육과 치료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가족들이 필요한 교육서비스를 선택하여 지원받을 수 있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아 부모들이 지역사회기관으로부터 받은 가족지원 유형은 다양했지만 필요로 하는 지원을 지속적으로 받지 못한다고 했다. 학교에서 실행하는 가족지원은 학교 중심의 부모교육이나 자녀에게 문제가 발생했을 때 주로 실시하는 부모 면담이 대부분이어서 만족 정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들은 학교기관에서는 장애아의 문제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정기적인 부모 상담을 실행해 줄 것과 이를 위한 교사의 상담 역량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아 가족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find out the degree of awareness and exper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family support,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recognized that family support means providing necessary education and treatment services for each life cycle, starting with early education through early diagnosi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llowing families to select and receive support for the education services they need. Second, the experience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receiving family support varied depending on the parents’ personal circumstances, situations and level of will. The types of family support parents received from community organizations varied, but most of them were only provided once or parents did not receive the support they requested on an ongoing basis. The types of family support implemented by school institutions are mostly parent education conducted on a school-designated topic or parent interviews conducted when a problem occurs with their child or during individual education council meetings, so the satisfaction level was found to be very low. Therefore, parents mentioned that schools and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form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conduct regular parent counseling sessions to prevent problems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at teachers need to have counseling capabilities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future support measures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학생의 타인의 감정이해 요인에 관한 청각장애 특수 교사의 인식
- 연속성의 관점에서 본 유‧초 이음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탐색 -경기도 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 수어통역사의 학령기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 수어통역 경험과 지원 요구
- 청각장애 특수교사가 경험한 청각장애학교의 진로 교육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 특수교육전공 대학생의 진로소명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 숙달도 인식이 교수학습 방법 및 청각장애교육 신념에 미치는 구조 관계
- 청각장애인과 장애청인의 사회자본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교 -가족 및 지역사회자본과 인터넷사회자본을 중심으로-
- 가족지원에 대한 장애아 부모의 인식 및 경험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인식 및 교육과정 전문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 논의가 교육학에 주는 함의 - 버틀러의 이론을 중심으로
- 훔볼트(W. v. Humboldt)와 듀이(J. Dewey) 교육사상의 비교를 통한 다양성의 논점들
- 무아(無我)에 대한 신경과학적 성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