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인식 및 교육과정 전문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pecial Teachers’ Awareness of School Curriculum and Research on Curriculum Expertise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인 정은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5권 제3호, 143~16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교육과정 전문성 정도와 변인 간의 차이, 학교 교육과정 개발 저해 요인과 지원 요구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에 소재한 9개 특수학교 특수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교육경력과 보직교사 경력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 교육과정의 필요성은 학교 상황과 여건, 장애 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함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정도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교육경력과 특수학교 경험, 보직교사 경력, 교육과정 관련 업무 경험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저해 요인과 지원 요구 사항으로는 과다한 행정업무와 자료 부족, 연수와 자료의 개발 보급 등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의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특수교사에게 요구되는 교육과정 전문성 강화를 위한 지원 방안을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special teachers' awareness of the school curriculum, degree of curriculum expertis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factors hindering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support needs. A survey was conducted on 100 teachers from 9 special schools located in Jeollanam-do.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of the school curriculum was at an average leve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depend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and teaching experience. The need for a school curriculum was found to reflect the school situation and conditions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urriculum expertise was average. Differences appeared between groups depend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special school experience, on-duty teacher experience, and curriculum-related work experience. Third, factors hindering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support requirements are as follows.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 and experience, lack of data, training,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ata, etc. appeared. Lastly, support measures to strength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curriculum expertise requir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학생의 타인의 감정이해 요인에 관한 청각장애 특수 교사의 인식
- 연속성의 관점에서 본 유‧초 이음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탐색 -경기도 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 수어통역사의 학령기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 수어통역 경험과 지원 요구
- 청각장애 특수교사가 경험한 청각장애학교의 진로 교육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 특수교육전공 대학생의 진로소명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어 숙달도 인식이 교수학습 방법 및 청각장애교육 신념에 미치는 구조 관계
- 청각장애인과 장애청인의 사회자본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교 -가족 및 지역사회자본과 인터넷사회자본을 중심으로-
- 가족지원에 대한 장애아 부모의 인식 및 경험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인식 및 교육과정 전문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 논의가 교육학에 주는 함의 - 버틀러의 이론을 중심으로
- 훔볼트(W. v. Humboldt)와 듀이(J. Dewey) 교육사상의 비교를 통한 다양성의 논점들
- 무아(無我)에 대한 신경과학적 성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