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장애인의 점자 사용양상 실태조사 도구 개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urvey Tool on the Use of Braille for Visual Impairment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저자명
- 박은희
- 간행물 정보
- 『시각장애연구』제40권 제4호, 45~7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점자 사용 환경 개선과 점자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점자 사용 양상 실태 조사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연구 방법: 국내외 문헌연구와 점자 사용자 및 전문가의 FGI를 거쳐 점자 사용 양상 조사 영역과 조사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2차례 예비 조사를 거쳐 최종 시각장애인의 점자 사용 양상 실태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점자 사용 양상 실태 조사 도구는 1차 예비조사를 위한 조사 항목으로 7개 영역에 걸쳐 41개 항목을 도출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 조사 결과 응답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낮은 항목을 통합, 수정하여 최종 조사 도구로 전체 7개 영역의 38개 항목을 개발하였다. 실태 조사 도구는 응답자가 점자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영역으로 ‘점자의 사용 여부’영역의 2개 항목을 비롯하여 ‘점자 사용 목적과 사용 정도’8개 항목, ‘점자 능력’3개 항목, ‘점자 학습’6개 항목, ‘점자 보조기기의 활용’3개 항목, ‘점자 사용 환경’6개 항목, ‘응답자 기본 정보’10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결론: 시각장애인 점자 사용 양상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서 조사 항목의 설정과 함께 통계적 표본 추출 방법을 활용한 전국 단위 조사를 통해 모집단의 특성을 추정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ool for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 of Braille usage among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Method: Through a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t advisory meetings, we identified the areas and items for investigating Braille usage patterns. After conducting two preliminary surveys, we developed the final tool for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 of Braille usage of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Result: The actual condition of Braille usage survey tool was conducted by deriving 41 items across 7 areas as the survey items for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Based on the results, we integrated and revised items with low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ing in a final tool with 38 items across all 7 areas. The survey tool includes two items in the "Whether to use braille or not" area to confirm whether respondents use Braille, as well as eight items regarding "Purpose and Degree of Braille Use," three items on "Braille Proficiency," six items on "Braille Learning," three items on "Use of Braille Assistive Devices," six items on "Braille Usage Environment," and ten items for "Basic Information for Respondent. Conclus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se of braille for the visually impaired,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through a national survey using statistical sampling methods along with the setting of survey items.
목차
I. 서 론
Ⅱ. 선행연구의 분석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장애인의 외출시 안전사고 경험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연구: 편의시설 활용정도와 안전사고에 대한 상황낙관성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국내 20-69세 시각장애인의 점자 읽기유창성 능력
- 시각장애인의 점자 사용양상 실태조사 도구 개발 연구
-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체력상태 및 신체활동 수준 비교 분석
- 강원특별자치도 공공건축물의 점자기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 조사
- 시각장애인의 비시각 전시 체험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공간 오감」을 중심으로-
- 마이크로 티칭을 활용한 특수교육 시각장애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실행연구
- 시각장애인 보조공학 지원 경험과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지역사회 기관의 역할과 신생기술 등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범대학 다문화 교육 강좌의 현황과 과제
-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유아의 또래유능성 개입에 대한 요구분석: 주양육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 보육교사의 구성주의 신념과 교수창의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