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장애인 보조공학 지원 경험과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지역사회 기관의 역할과 신생기술 등장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Research on Experiences and Needs of Assistive Technology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Focusing on Institution-level Programs and Emerging Technologies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저자명
- 김서현 한윤정 이영선 박진석
- 간행물 정보
- 『시각장애연구』제40권 제4호, 143~16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시각장애 관련 보조공학기기 지원과 교육에 대한 당사자 요구 및 AI·신생 기술에 대한 시각장애인의 경험과 관련 요구를 탐색함으로써 시각장애인 복지관과 관련 기관의 지원 프로그램 개선을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32명 성인 시각장애인과 총 7회의 초점집단면담을 통해 녹음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전사한 내용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자는 면담 자료 분석을 통해 3개 범주에 따라 1) 지원 프로그램내용에 대한 요구, 2) 지원 프로그램 운영 방식에 대한 요구, 3) 접근성 및 AI·신생기술 관련 요구를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연령별·지역별·참여시간별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스마트폰과 접근성, 키오스크를 중심으로 기능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AI 활용 기대와 활용 격차에 따른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에 따라 지원기관의 보조공학기기 전담 부서 마련과 관련 인력 재배치, 순회 및 지역 거점 중심 지원을 통한 의 지원 프로그램의 다양성 확보, AI와 신생 기술의 등장에 대한 기대감에 따른 체계적인 AI 기초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needs related to support for technology, focusing on existing assistive technology and AI-centered innovation. Method: The researchers recruited 32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collected qualitative data through seven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in in-person and remote meetings.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Results: The researchers identified three categories and five themes centered on support needs: (1) diversification of program delivery, (2) program development emphasizing functional use, and (3) implementation of AI-related learning programs. Conclusion and sugges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welfare centers for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need to establish dedicated departments and reallocate human resources specialized in technology support and program improvements. Technology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need to incorporate diverse formats including itinerant, regional-based, and remote options, Additionally, the researchers suggested to develop beginner-level AI education programs to bridge the digital gaps and promote inclusive digital transition.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장애인의 외출시 안전사고 경험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연구: 편의시설 활용정도와 안전사고에 대한 상황낙관성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국내 20-69세 시각장애인의 점자 읽기유창성 능력
- 시각장애인의 점자 사용양상 실태조사 도구 개발 연구
-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체력상태 및 신체활동 수준 비교 분석
- 강원특별자치도 공공건축물의 점자기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 조사
- 시각장애인의 비시각 전시 체험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공간 오감」을 중심으로-
- 마이크로 티칭을 활용한 특수교육 시각장애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실행연구
- 시각장애인 보조공학 지원 경험과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지역사회 기관의 역할과 신생기술 등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태블릿 PC를 활용한 유아의 쓰기 경험 탐색
- 한국 개발 NGO의 세계시민교육 운영과 시사점: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키프로스 분단극복 평화교육: 다문화적 평화공존 사회를 향한 교육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