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장애인의 비시각 전시 체험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공간 오감」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Non-Visual Exhibition Experience of the Visually Imparied - Focusing on National Museum of Korea’s Five Senses of Space -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저자명
- 김하은 김선영
- 간행물 정보
- 『시각장애연구』제40권 제4호, 91~11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이 감각을 활용한 전시를 어떻게 이해하고 경험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시각장애인 대상 전시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20~30대 시각장애인 8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경증부터 중증까지 다양한 시각장애 등급을 포함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자와 함께 국립중앙박물관의 ‘공간 오감’ 전시를 관람한 후,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지오르기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결과, 시각장애인의 전시 관람 동기는 문화 향유와 전시 희소성에서 비롯되었으며, 전시 공간 접근성과 촉각 전시물에 높은 만족을 보였다. 또한 장애 정도에 따라 상이한 전시 경험이 확인되었고, 이에 따라 전시 프로그램의 다양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론: 시각장애인들은 단순 관람보다 능동적 체험을 선호하며, 시각장애 정도를 고려한 맞춤형 전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how visually impaired people understand and experience exhibitions that utilize their senses, and seek the direction of exhibitions for the visually impaired.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 of eight visually impaired people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Seoul, and they vary in their levels of visual impairment from mild to severe. With them, the researcher viewed the ‘Five Senses of Space’ exhibi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analyzed them using Giorgi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Resul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exhibition accessi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poor, and that the experiences and reaction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visual impairment of the participants. For exmaple, visually impaired people with low vision have a strong desire to maximize their visual experience and are dissatisfied with vision-blocking glasses. Conclusion: In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visually impaired people prefer active experiences rather than simple viewing, and that a customized exhibition program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egree of visual impairment is needed.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고찰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장애인의 외출시 안전사고 경험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연구: 편의시설 활용정도와 안전사고에 대한 상황낙관성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국내 20-69세 시각장애인의 점자 읽기유창성 능력
- 시각장애인의 점자 사용양상 실태조사 도구 개발 연구
-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체력상태 및 신체활동 수준 비교 분석
- 강원특별자치도 공공건축물의 점자기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 조사
- 시각장애인의 비시각 전시 체험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공간 오감」을 중심으로-
- 마이크로 티칭을 활용한 특수교육 시각장애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실행연구
- 시각장애인 보조공학 지원 경험과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지역사회 기관의 역할과 신생기술 등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 개발 NGO의 세계시민교육 운영과 시사점: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키프로스 분단극복 평화교육: 다문화적 평화공존 사회를 향한 교육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