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체력상태 및 신체활동 수준 비교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Gender Differences i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among Korean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저자명
- 이계영 김준식
- 간행물 정보
- 『시각장애연구』제40권 제4호, 71~8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체력상태, 그리고 신체활동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여 시각장애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및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2020년 장애인 생활체육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시각장애인 1,631명(남성 1,061명, 여성 5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는 참가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체력상태, 신체활동 패턴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성별 차이 분석을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관적 건강상태와 체력상태 모두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에서는 남성이 ‘좋다’와 ‘매우 좋다’의 긍정적 응답이 여성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체력상태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둘째, 운동 빈도에서는 성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성이 여성에 비해 중강도 이상 활동과 장시간 운동에 더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셋째, 운동 종목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걷기는 남녀 모두 선호하였으나 남성은 근력운동과 자전거, 여성은 수영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의 건강상태와 체력상태, 그리고 신체활동은 성별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장애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시 성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접근히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gender differences i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among Korean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health promotion policies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s. Method: Data from 1,631 visually impaired adults (1,061 males, 570 females) were analyzed using the 2020 Survey on Physical activity and Spor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urvey collected information on participant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patterns.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Results: First, male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s than females in both self-perceived health and physical fitness status. Male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positive responses of "good" and "very good" in health status, with similar trends observed in physical fitness. Second, while n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exercise frequency, male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rates in moderate to high-intensity activities and longer duration exercises compared to females.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referred exercise types. While walking was preferred by both genders, males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resistance training and cycling, while females preferred swimming. Conclusion: Korean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showed distinct gender differences in their health status,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patter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gender-specific approaches in developing health promotion policies and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장애인의 외출시 안전사고 경험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연구: 편의시설 활용정도와 안전사고에 대한 상황낙관성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국내 20-69세 시각장애인의 점자 읽기유창성 능력
- 시각장애인의 점자 사용양상 실태조사 도구 개발 연구
-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체력상태 및 신체활동 수준 비교 분석
- 강원특별자치도 공공건축물의 점자기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 조사
- 시각장애인의 비시각 전시 체험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공간 오감」을 중심으로-
- 마이크로 티칭을 활용한 특수교육 시각장애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실행연구
- 시각장애인 보조공학 지원 경험과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지역사회 기관의 역할과 신생기술 등장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 개발 NGO의 세계시민교육 운영과 시사점: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키프로스 분단극복 평화교육: 다문화적 평화공존 사회를 향한 교육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