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맞벌이 여부가 자녀의 자기보호 시간을 통해 미디어 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
- 영문명
- The Effect of Dual-Income Household Status on Media Device Addiction through Children’s Self-Care Time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저자명
- 이의빈 김진원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교육』제68집, 137~1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맞벌이 여부와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 간 관계와 두 변인 간 관계에서 아동이 보호자 없이 혼자 자신을 돌보는 자기보호 시간의 매개적 역할을 탐구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아동패널 13차년도 자료(2020년 조사)가 활용되었으며, 총 1,190개의 사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이 활용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맞벌이 여부는 자녀의 미디어 기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녀의 자기보호 시간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맞벌이 가정인 경우 자녀의 자기보호 시간이 길었으며, 이는 자녀의 미디어 기기 중독 정도를 증가시켰음을 가리킨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미디어 기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의 자기보호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제언을 하였으며, 특히 맞벌이 가정을 대상으로 한 돌봄 정책 및 서비스 등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ual-income household status and media device addic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self-care time (children’s time spent on their own without adult supervision or care). A total of 1,190 cases derived from 13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used in the analysis; for statistical analytic strategie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In terms of testing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ual-income household status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edia device addiction.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dual-income household status on media device addiction via children’s self-care tim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ndicates that children from dual-income household experienced longer self-care time, which in turn increased the level of media device addiction. Based on aforementioned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child care services to reduce self-care time, which could, in turn decrease the possibility of media device addiction; and the implications such as child care services and policies especially for children from dual-income households were also discussed. The current study was concluded with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 의식 매개효과
- 이용자중심 실천요소가 위기지원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쉼터 유형별 협력네트워크 현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