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복지현장실습 지도자의 MZ세대 실습지도 경험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the Field Training Supervisors’ Experience for the MZ Generation’s Practicum
발행기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저자명
이오복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교육』제68집, 89~11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MZ세대 실습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지도한 경험을 토대로 현장실습교육의 변화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현장실습지도 경력 10년 이상의 실습지도자 7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개방코딩 분석 결과 총 177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와 13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분석에서, 중심현상은 ‘실습생에 맞춰주며 끌어가는 교육’으로 파악되었고, 인과적 조건은 ‘나 중심 사고’와 ‘절박함이 없음’이었다. 맥락적 조건은 ‘역량의 불균형’과 ‘개인주의 성향’, 중재적 조건은 ‘실습 목적에 따라 다른 자세’와 ‘어떻게 할 수 없는 부족함’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전략은 ‘교육수준의 하향 평준화’, ‘학부 학생 한정 실습 방침 해제’, ‘학생 세대를 이해하려는 노력’, 결과는 ‘기관 입장에서 가지는 걱정’, ‘선배로서의 책임감’, ‘수퍼바이저 시점 실습 교육의 과제’로 분석되었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실습생 특성과 수준에 맞춰가며 새롭게 변화하는 현장 교육’으로 밝혀졌다. 실습지도자들은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실습생의 특성과 역량에 따라 유연하게 실습교육 내용과 방법을 변경하고 있었다. 실습지도자들의 적극적이고 책임 있는 실습교육의 현실을 확인하고, 앞으로 MZ세대형 현장실습교육을 위한 대안으로 표준 실습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기관과 실습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실습 후 실무역량 강화과정 신설, 단일 실습평가지표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hanges in field training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field training supervisors’ to MZ generation trainees.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7 field training superviso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field training and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method. The open coding analysis yielded a total of 177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3 super-categories. In axial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was ‘education that is tailored to and leads the trainees’, and the causal conditions included ‘self-centered thinking’ and ‘lack of urgency’.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identified as ‘imbalance in basic competencies’ and ‘individualistic tendencies’, and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included ‘different attitud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field training’ and ‘inevitable shortcomings’. The interaction strategies involved ‘downward standardization of the level of education’, ‘Lifting of regulations on limited practical training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efforts to understand the MZ generations’. The consequences indicated ‘concerns from the institution’s perspective’, ‘responsibility as a senior’, and ‘challenges of the field training from the supervisor’s perspective’. In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emerged as ‘newly changing field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the trainees’. The field training supervisors were flexibly chang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field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of the trainees through much trial and error. After confirming the reality of the active and responsible field education of the field supervisor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standard field education program,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ield institutions, creating a post-field training course for the practical capacity enhancement, and developing a single field evaluation index wa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for the future field practical education of the MZ gene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자료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오복. (2024).사회복지현장실습 지도자의 MZ세대 실습지도 경험. 한국사회복지교육, (), 89-112

MLA

이오복. "사회복지현장실습 지도자의 MZ세대 실습지도 경험." 한국사회복지교육, (2024): 89-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