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 의식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Impact of Volunteering Satisfaction on Social Capital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한영남 김상미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5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사회적 자본, 공동체 의식의 주요 요인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제주도 내 사회복지시설 및 기관에서 활동하는 성인 자원봉사자 34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였고,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개정이 필요하다. 둘째, 공동체 의식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자본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인식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의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on social capital in the Jeju region and to confirm whether community awareness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and social capital. To achieve this, a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key factors related to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social capital, and a sense of community was conducted,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344 adult volunteers engaged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organizations in Jeju Islan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revealed that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significantly influences social capital, and the sense of communit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and social capital.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Basic Law on Volunteer Activities. Second, diverse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sense of community should be developed. Third, efforts are needed to foster changes in perception to promote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t is hoped that this study's findings will stimulate practical and policy-oriented discussions for improving social capita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 의식 매개효과
- 이용자중심 실천요소가 위기지원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쉼터 유형별 협력네트워크 현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