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음악육아가 영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
- 영문명
- Impact of Mothers' Music Parenting on Infants' Musical 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홍정민 박형신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제53권 제4호, 305~3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음악육아(Musical parenting: MP) 실태와 어머니의 MP가 영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질문지를 작성하고, G도 소재 어린이집의 만2세 영아 304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어머니는 음악태교(Prenatal music education: PME)가 자녀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고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PME를 높은 비율로 실행하였고, PME에 클래식 음악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어머니의 연령이 높을수록 PME를 더 많이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는 자녀와의 음악적 상호작용(Musical interaction: MI)에 비교적 적극적이었으며, 연령, 학력, 음악학습 경험에 따라 자녀와의 MI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가정의 음악환경 (Home musical environment: HME)은 풍부하지 못하였으며, 어머니의 학력과 음악학습 경험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한편, 어머니 MP의 여러 유형 중 PME의 실행 여부, 주 평균 PME 빈도, 음악 듣기, 노래 부르기, 음악에 맞춰 춤추기, 음악 만들기, HME가 영아의 음악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이 중 노래 부르기에 관한 MI가 영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어머니가 자녀를 위한 MP의 긍정적인 역할을 인지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usical parenting (MP) practices of mothers with infants and the impact of these practices on infants' musical abilitie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04 two-year-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in daycare centers across G Province.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mothers perceived prenatal musical education (PME) as beneficial and necessary for child development, with high implementation rates, primarily using classical music. Additionally, older mothers were found to participate in PME more frequently. Second, mothers were relatively active in engaging in musical interactions (MI) with their young children, with differences in MI participation depending on the mothers' age, education, and music learning experience. Moreover, the home musical environment (HME) was found to be lacking, with differences based on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usic learning experience. Various MP practices—including PME implementation, weekly PME frequency, listening to music, singing, dancing, music-making, and HME—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infants' musical abilities. Among these, singing-related MI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infants' musical abiliti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mothers in recognizing and actively engaging in MP practices to positively influence their children's musical developmen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 통합운영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전라남도 장흥군을 중심으로 -
- 국내 AI 음악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18년~2024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 존 듀이 예술철학 관점에서의 음악의 형식과 본체
- 어머니의 음악육아가 영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음악교육학회 2024 추계학술세미나 보고서
- 다성부 음악 학습에서의 인지적 부하 관리 전략 - 바흐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제1권 C장조 푸가를 중심으로 -
- 국제 바칼로레아 커리큘럼의 창의적 음악 작곡 - 인지 발달 이해를 위한 피아제적 접근 -
- 학습자의 음악 학습 동기 및 교과 흥미가 음악 수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교수자 자율성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2022 개정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교과서 ‘즐거운 생활’의 국악 내용 분석
- 즉흥연주 관련 국내 음악교육 분야 연구 동향
- 세계 음악 교수법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사례 연구
- 음악과 공동교육과정 운영 교사들의 수업 경험 및 실행 특성에 대한 탐색 - 대전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 중학교 초임 음악 교사의 의사결정 수준에 대한 경험적 연구
- 태국 고등 교육 기관의 음악 석사 논문 질 향상을 위한 방법과 실천
- 음악감상활동 기반 교양수업 참여 대학생의 학습몰입 및 지속에 관한 연구
- 중등예비음악교사의 교육실습과정 실태 및 인식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설계 원리 및 내용 분석을 통한 미래 지향적 음악교육의 함의 도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초⋅중 통합운영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전라남도 장흥군을 중심으로 -
- 국내 AI 음악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18년~2024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 존 듀이 예술철학 관점에서의 음악의 형식과 본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