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소수자 대학원생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자서전적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The Qualitative Case Study of Autobiographical Art Therapy for the Establishing Ego Identity of an LGBTQ+ Student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김유미 한경아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1권 제6호, 1315~133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소수자 대학원생이 자서전적 미술치료를 통해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27세 레즈비언 대학원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2024년 1월부터 2월까지 주2회 120분씩 총 8회 진행된 미술치료와 3차례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5개의 상위 주제와 13개의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상위 주제는 ‘성정체화의 기로에서 고군분투’, ‘성소수자로서 억압된 감정을 탐색하고 에너지를 얻음’, ‘성소수자로서 살아가는 데 힘이 되는 자원 발견’, ‘소수자 스트레스를 적응적으로 표출하고 대처’, ‘새롭게 발견한 나를 이해하고 정체성을 확립함’이다. 본 연구는 자서전적 미술치료에서 성소수자 대학원생이 이미지와 자서전적 이야기를 반복적으로 표현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갈등을 다루고 유연하게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경험과 의미를 심도 있게 다루었다는 데 의미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associated with the ego identity formation of an LGBTQ+ graduate student who was a 27-year-old lesbian through autobiographical art therapy.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eight art therapy sessions, conducted twice weekly for 120 minutes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2024, along with three in-depth interviews. The analysis identified five main themes and thirteen sub-themes. The primary themes were: ‘Struggling at the crossroads of sexual identity formation,’ ‘Exploring suppressed emotions as an LGBTQ+ individual and gaining strength,’ ‘Discovering resources that provided support for living as a sexual minority,’ ‘Adaptively expressing and coping with minority stress,’ and ‘Understanding the newly discovered ego and establishing identity.’ This study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autobiographical art therapy in allowing the participant to express and explore internal conflicts through repeated visual and narrative storytelling, facilitating the flexible process of ego identity formation. The findings offered meaningful insights into the participant’s journey toward understanding and affirming her ident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발달 및 소근육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미술치료연구 제31권 제6호』
- 성소수자 대학원생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자서전적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 자립준비청년의 자기효능감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다계통위축증(MSA) 여성노인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청년 자영업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촉각매체 중심의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입원 여성 청소년 환자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주제분석
- 전문직 종사자의 실존주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학대 피해 아동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전자 정신건강 서비스(e-mental health service: eMHS)로서 디지털 미술치료 연구 동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