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자 정신건강 서비스(e-mental health service: eMHS)로서 디지털 미술치료 연구 동향
이용수 0
- 영문명
- Research Trends in Digital Art Therapy as Electronic Mental Health Service(e-Mental Health Service : eMH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김지윤 황세진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1권 제6호, 1335~135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심리치료가 대두되면서 국내외 전자 정신건강 서비스(e-mental health service : eMHS)가 활발히 중재되고 있다. 하지만 미술치료 분야는 eMHS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은 채 디지털 미술치료, 비대면 미술치료 등 다양한 용어로 서비스가 제공돼 왔다. 이에 본 연구는 eMHS로서 진행돼 왔던 디지털 미술치료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eMHS에 대한 개념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23년 3월까지 국내외에서 발행된 151편의 문헌을 수집하여 발행 연도에 따른 게재 논문의 수를 구한 뒤, 연구 진행 방법, 연구 진행 대상 및 특성, 연구 내용 및 주제에 관한 세부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 연도에 따른 게재 논문의 수는 2021년(45편)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둘째, 연구 진행 방법의 경우 양적 분석(79편)이 가장 많았으며, 총회기 및 소요 시간은 미기재가 각각 44편, 42편으로 가장 많았다. 활용 기술과 매체 사용의 경우 화상(45편) 기술과 오프라인 매체(41편) 활용이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 진행 대상 및 대상 특성의 경우 개인(54편)과 성인(63편)이 많았으며, 대상 특성에서는 일반이(63편) 압도적으로 많았다. 넷째, 연구 내용 및 주제의 경우 디지털(69편)과 치료 과정 및 성과 연구(51편)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s non-face-to-face psychological treatment has emerged since COVID-19, electronic mental health services(e-mental health service : eMHS) have been actively implement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However, art therapy services have been provided under various terms-such as digital and non-face-to-face art therapy, instead of eMH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role of eMHS by investigating research trends on digital art therapy. The study collected 151 papers published from 2004 to March 2023 and analyzed research methods,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the details of contents of the papers. I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number of papers was the highest in 2021 (45 papers). Secondly, in terms of methods, 79 papers were quantitative studies, 44 papers did not record the number of sessions, and 42 papers did not mention their hours. Concerning technology use, 45 papers used video, and 41 papers adopted offline media. Thirdly, individuals (54 papers) and adults (63 papers) were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63 papers) were the highest. Fourthly, the contents and topics were digital (69 papers) and the treatment process and its outcome (51 papers). Based on our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발달 및 소근육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미술치료연구 제31권 제6호』
- 성소수자 대학원생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자서전적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 자립준비청년의 자기효능감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다계통위축증(MSA) 여성노인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청년 자영업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촉각매체 중심의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입원 여성 청소년 환자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주제분석
- 전문직 종사자의 실존주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학대 피해 아동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전자 정신건강 서비스(e-mental health service: eMHS)로서 디지털 미술치료 연구 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발달 및 소근육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미술치료연구 제31권 제6호』
- 성소수자 대학원생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자서전적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