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흥군 산지습지에서의 탄소 저장 및 플럭스의 계절‧공간적 변화 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Seasonal and spatial changes in carbon storage and fluxes in forested wetlands in Goheung-gu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장인영 정헌모 한상학 이응필 강성룡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6권 제4호, 468~47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지구적 탄소 순환에 있어, 자연생태계는 유일한 탄소 흡수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최근 심화되는 기후변화에 따라, 자연생태계의 이러한 기능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습지 생태계의 경우 높은 생산성을 가진 반면에 낮은 분해율을 가진 생태계로 타 생태계에 비해 단위면적당 많은 양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지습지의 탄소 저장량 및 토양 호흡량 분석을 위해 전라남도 고흥군 우미산에 위치한 산지습지(N34.602487 E127.495810)의 습지 내·외부에서 계절별로 토양을 채취하여 토양 특성 및 탄소를 분석함과 동시에 토양 호흡을 측정하였다. 또한, 습지 내부의 식물체 탄소 저장량도 함께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습지 내부의 토양 탄소 저장량은 129.58~236.77 kgC m-2 였으며, 습지 외부 토양 탄소 저장량은 49.02~59.81 kgC m-2 로 습지 내부 토양이 유의하게 더 많은 양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습지 면적으로 환산하여 보면 습지 내부 토양에서는 233.1tC 의 탄소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지 내 목본 및 초본 식생의 탄소 저장량은 1.575tC 으로 상대적으로 습지 토양에 많은 양의 탄소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습지 내부 탄소 저장량의 경우 중량수분함량(P<0.000, r=0.8443), T-P(P<0.000, r=0.900), NH4+(P=0.001, r=0.818)과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낸 반면, 습지 외부는 T-P 만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4, r=0.682). 대상 습지의 토양호흡의 경우 습지 내부에서는 0.2~1.3 gCO2 m-2 hr-1, 습지 외부 토양에서는 1.2~2.9 gCO2 m-2 hr-1 의 값을 나타냈다. 습지 내부의 경우, 토양 유기탄소함량(P=0.013, r=0.641) 및 중량수분함량(P=0.002, r=0.743)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습지 외부의 경우 암모늄 이온(P=0.029, r=0.804) 및 질산성 질소 이온(P<0.000, r=0.974)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습지 내·외부가 서로 다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the global carbon cycle, natural ecosystems are the only carbon sinks. With the recent intensification of climate change, this function of natural ecosystems has been emphasized. In particular, wetland ecosystems store a large amount of carbon per unit area compared to other ecosystems due to their high productivity and low decomposition rate.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carbon storage and soil respiration of a forested wetland in Korea, we collected seasonal soil samples from inside and outside the wetland of a forested wetland (N34.602487 E127.495810) located in Umisan, Goheung-gun, Jeollanam-do, and analyzed soil properties and carbon, and measured soil respiration. We also measured the carbon storage of plant life inside the wetl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il carbon storage inside the wetland ranged from 129.58 to 236.77 kgC m-2, while the soil carbon storage outside the wetland ranged from 49.02 to 59.81 kgC m-2, indicating that the soil inside the wetland stored significantly more carbon. Converting this to the wetland area, we found that 233.1 tC of carbon was stored in the soil inside the wetland, while the carbon storage of woody and herbaceous vegetationin the wetland was 1.575 tC, indicating tha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arbon is stored in the wetland soil. In addition, carbon storage inside the wetland was highly correlated with weighted moisture content (P<0.000, r=0.8443), TP (P<0.000, r=0.900), and NH4 + (P=0.001, r=0.818), while outside the wetland, only TP was positively correlated (P=0.014, r=0.682). Soil respiration in the target wetlands ranged from 0.2 to 1.3 gCO2 m-2 hr-1 inside and from 1.2 to 2.9 gCO2 m-2 hr-1 in soils outside the wetlands. Inside the wetland, it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il organic carbon content (P=0.013, r=0.641) and weight moisture content (P=0.002, r=0.743), while outside the wetland,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monium ions (P=0.029, r=0.804) and nitrate nitrogen ions (P<0.000, r=0.974), indicating that it was influenced by different factors inside and outside the wetland.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주호 수질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댐 운영계획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의 인과 기반 가뭄 전파 분석
- 남강유역에서의 시설재배지가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 한반도 주요 낙엽활엽수림인 신갈나무군락의 구조적 특성 및 천이 예측
- 비식생 갯벌 표층에서 탄소 저장률 산정 및 영향인자 분석 : 함평만과 순천만
- 섬유여재 여과장치에 의한 건설사업장 흙탕물 처리에 관한 연구
- Effect of Media Type and Number of Dry Days on the Performance of Packed-bed Wetland
- 금강수계 유기물질 분포 및 거동 특성 연구
- 동진강 일대 생태계교란 식물 양미역취(Solidago altissima)의 고밀도 군락 내 중장비를 활용한 제거 효과
- 점봉산 산지 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 특성 및 강우가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세종시 토지이용에 따른 탄소흡수능력 변화 및 마을습지 기능평가
- VHI의 모니터링 성능 개선 및 기상학적 요인 변화에 따른 식생 반응의 정량적 평가
-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습지 활용사례 및 정책 개선방향
- Test-Bed 규모의 하이브리드형 인공 습지의 오염저감도 평가
- 복원 초기 우포늪 산밖벌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 도시공원과 도로변 녹지의 식물체 탄소량 비교 및 순일차생산량과 기후요인인 기온과 강수량과의 관계
- 고흥군 산지습지에서의 탄소 저장 및 플럭스의 계절‧공간적 변화 연구
- 국내 피트 치유자원의 활용 및 기준에 관한 연구
- 항생제 오염관리를 위한 인공습지의 연구동향: 계량서지학 분석 및 종합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남강유역에서의 시설재배지가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섬유여재 여과장치에 의한 건설사업장 흙탕물 처리에 관한 연구
- Effect of Media Type and Number of Dry Days on the Performance of Packed-bed Wetland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