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ffect of Media Type and Number of Dry Days on the Performance of Packed-bed Wetland
이용수 2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첸야오핑 김영철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6권 제4호, 420~434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paper deals with how type of media and number of dry days(NDDs) in the packed-bed wetlands for stormwater treatment affect their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media, there are some clear features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specific pollutants in the stormwater. In the first place, effect of NDDs on the effluent TSS, TN, and TP concentrations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more time or chance for the treatment were provided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ssage through the media through recycling except for COD in woodchip wetland due to the release of organics by itself and NO3--N in pumice and volcanic gravel wetlands due to the lack of carbon source. However, It was found out that woodchip wetland was the best one in reducing nitrogen due to the abundant carbon supplied from the woodchip and pumice wetland was the better one due to its nice adsorption capacity. Removal efficiencies of TSS by pumice wetland and volcanic gravel wetland were similar while wetland filled with woodchip was worse due to the debris by itself.
영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수 처리목적의 충진형 습지에서 여재의 형태와 선행강우일수(NDDs)가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여재에 따라 강우유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 저감에 기여하는 독특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NDDs가 습지 유출수의 TSS, TN, TP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컸는데 그 이유는 강우활동이 없는 기간 동안에 실시되는 재순환이 처리시간의 확대 및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우드칩 충진 습지에서는 우드칩 자체에서 방출되는 유기물질로 인하여 COD 제거효율은 저조한 반면에 방출된 유기물질(탄소원)로 인한 탈질촉진으로 질산성 질소 NO3--N 농도는 가장 낮았으며, 부석의 일종인 다공질의 Pumice 충진 습지에서도 흡착효과에 의하여 NO3--N 농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Pumice 습지와 화산석 충진 습지에서 TSS 제거효율은 유사한 수준을 보인 반면에 우드칩 습지에서는 습기에 약한 목편으로부터 탈리된 파편으로 인하여 TSS 농도가 유입수보다 높게 배출되었다.
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s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주호 수질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댐 운영계획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의 인과 기반 가뭄 전파 분석
- 남강유역에서의 시설재배지가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 한반도 주요 낙엽활엽수림인 신갈나무군락의 구조적 특성 및 천이 예측
- 비식생 갯벌 표층에서 탄소 저장률 산정 및 영향인자 분석 : 함평만과 순천만
- 섬유여재 여과장치에 의한 건설사업장 흙탕물 처리에 관한 연구
- Effect of Media Type and Number of Dry Days on the Performance of Packed-bed Wetland
- 금강수계 유기물질 분포 및 거동 특성 연구
- 동진강 일대 생태계교란 식물 양미역취(Solidago altissima)의 고밀도 군락 내 중장비를 활용한 제거 효과
- 점봉산 산지 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 특성 및 강우가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세종시 토지이용에 따른 탄소흡수능력 변화 및 마을습지 기능평가
- VHI의 모니터링 성능 개선 및 기상학적 요인 변화에 따른 식생 반응의 정량적 평가
-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습지 활용사례 및 정책 개선방향
- Test-Bed 규모의 하이브리드형 인공 습지의 오염저감도 평가
- 복원 초기 우포늪 산밖벌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 도시공원과 도로변 녹지의 식물체 탄소량 비교 및 순일차생산량과 기후요인인 기온과 강수량과의 관계
- 고흥군 산지습지에서의 탄소 저장 및 플럭스의 계절‧공간적 변화 연구
- 국내 피트 치유자원의 활용 및 기준에 관한 연구
- 항생제 오염관리를 위한 인공습지의 연구동향: 계량서지학 분석 및 종합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1권 제4호 목차
- 프리파일링 공법을 이용한 수중 템플리트의 침하량 거동 분석 및 현장 적용성 평가
- Delft3D-FM을 이용한 태풍 내습시 연안해 흐름 파랑 커플링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