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공원과 도로변 녹지의 식물체 탄소량 비교 및 순일차생산량과 기후요인인 기온과 강수량과의 관계
이용수 10
- 영문명
- Comparison of Standing Carbon in Urban Park and Roadside Green Spac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Net Primary Production and Climatic Factor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이응필 정헌모 강성룡 장인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6권 제4호, 398~409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표적인 도시림인 도시공원과 도로변 녹지의 주요 탄소저장고인 식물체 탄소량의 비교 및 기후요인인 온도와 강수량이 순일차생산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행연구는 도시공원이 도로변 녹지보다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식물체 탄소량, 순일차생산량, 식재밀도, 용적밀도는 도시공원이 도로변 녹지보다 각각 약 1.8 배, 약 3.0 배, 약 6.5 배, 약 1.3 배 높았지만, 석력함량은 도로변 녹지가 도시공원보다 약 1.2 배 높았고, 흉고직경은 도시공원과 도로변 녹지가 차이가 없었다. 또한, 순일차생산량은 연평균기온(R2=0.0926, p=0.0355), 생육 초기 평균 기온(R2=0.1169, p=0.0174), 생육 말기 월평균 적산 강수량(R2=0.1817, p=0.0025)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기후요인 중 연평균 기온, 봄철 기온 및 가을철 강수량은 생태계 서비스 감소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은 다른 도시림 유형에서도 유사할 것이다. 따라서 순일차생산량 증진을 위해서는 수분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토양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previous research to compare the standing carbon, which are the major carbon reservoirs, in urban park and roadside green space, representative urban forests. We also investigated how climatic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ffect net primary produc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mor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urban park compared to roadside green space. The standing carbon, net primary production, planting density, and bulk density were approximately 1.8 times, 3.0 times, 6.5 times, and 1.3 times higher in urban park than in roadside green space, respectively. However, the gravel content was about 1.2 times higher in roadside green spac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between urban park and roadside green space. Additionally, net primary productiv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nnual average temperature (R2 =0.0926, p=0.0355), average temperature during the beginning of growth (R2 =0.1169, p=0.0174), and monthly average of sum of daily precipitations during the end of growth (R2 =0.1817, p=0.0025). The study confirmed that among the climatic factors, the annual average temperature, spring temperature, and autumn rainfall are related to the reduc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his effect is likely to be similar across other types of urban forests. Therefore, it suggests that soil management to alleviate water stress is necessary to enhance net primary production.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주호 수질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댐 운영계획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의 인과 기반 가뭄 전파 분석
- 남강유역에서의 시설재배지가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 한반도 주요 낙엽활엽수림인 신갈나무군락의 구조적 특성 및 천이 예측
- 비식생 갯벌 표층에서 탄소 저장률 산정 및 영향인자 분석 : 함평만과 순천만
- 섬유여재 여과장치에 의한 건설사업장 흙탕물 처리에 관한 연구
- Effect of Media Type and Number of Dry Days on the Performance of Packed-bed Wetland
- 금강수계 유기물질 분포 및 거동 특성 연구
- 동진강 일대 생태계교란 식물 양미역취(Solidago altissima)의 고밀도 군락 내 중장비를 활용한 제거 효과
- 점봉산 산지 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 특성 및 강우가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세종시 토지이용에 따른 탄소흡수능력 변화 및 마을습지 기능평가
- VHI의 모니터링 성능 개선 및 기상학적 요인 변화에 따른 식생 반응의 정량적 평가
-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습지 활용사례 및 정책 개선방향
- Test-Bed 규모의 하이브리드형 인공 습지의 오염저감도 평가
- 복원 초기 우포늪 산밖벌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 도시공원과 도로변 녹지의 식물체 탄소량 비교 및 순일차생산량과 기후요인인 기온과 강수량과의 관계
- 고흥군 산지습지에서의 탄소 저장 및 플럭스의 계절‧공간적 변화 연구
- 국내 피트 치유자원의 활용 및 기준에 관한 연구
- 항생제 오염관리를 위한 인공습지의 연구동향: 계량서지학 분석 및 종합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남강유역에서의 시설재배지가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섬유여재 여과장치에 의한 건설사업장 흙탕물 처리에 관한 연구
- Effect of Media Type and Number of Dry Days on the Performance of Packed-bed Wetland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