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종시 토지이용에 따른 탄소흡수능력 변화 및 마을습지 기능평가

이용수 0

영문명
Changes in Carbon Absorption Capacity According to Land Use and Function Evaluation of Village Wetlands in Sejong City
발행기관
한국습지학회
저자명
박미옥 염택욱 구본학
간행물 정보
『한국습지학회지』제26권 제4호, 457~46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생활권 주변에 넓게 분포하던 묵논습지와 소규모 저수지 등 마을습지들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훼손되거나 소멸되고 있음에도 보전 노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세종시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탄소흡수량을 산출하고, 세종시 생활권을 나누어 각 생활권에 분포하는 묵논습지 등 마을습지들의 기능을 평가하여 보전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능평가는 Park and Koo(2024)에 의해 개발된 소규모 생활권 습지기능 간편평가법(RAMS)을 적용하여 4개 평가 항목, 15개 세부 지표별로 각 5점 척도로 평가하고 기능수준을 분석하였다. 토지피복별 탄소흡수량은 2009년 및 2023년 세종시 토지피복(Table 2)에 근거하여 활동자료가 제공되는 농경지, 산림지, 초지 등 3개 토지피복유형 중분류를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농경지는 농경지 면적이 감소되어 2009년 458,638tCO2에서 2023년 249,680tCO2로 감소하였다. 산림지역은 입목축적량이 크게 증가하여 636,189tCO2에서 1,866,959tCO2로 증가하였다. 초지는 산림지역의 토지이용 전환에 따라 인공초지 면적이 증가하여 38,298tCO2에서 277,036tCO2로 증가하였다. 습지 기능은 탄소흡수(F4) 기능(3.65)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 묵논습지 등 마을습지의 탄소 축적 및 탄소흡수 기능이 다른 기능에 비해 뛰어난 기능임을 알 수 있었다. 그외 생물다양성 및 건강성(F1) 기능(3.10)과 친수문화 및 생태성(F3) 기능(3.10), 물순환(F3) 기능(3.00)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15개 세부지표 중에서는 F21(접근성 및 시각적 개방성), F34(수문침수), F41(토양유기탄소 집적), F42(탄소흡수․저장 식생형), F43(주변 토지피복 탄소흡수) 등으로서 F2 1개 지표, F3 1개 지표, F4는 3개 지표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Although village wetlands, such as abandoned paddy wetlands (APWs) and small reservoirs, are widely distributed around residential areas, they are often poorly managed, leading to damage or disappearance. Conservation efforts have not been adequately implemented. This study calculates carbon absorption associated with land cover changes in Sejong City and evaluates the functions of village wetlands, including APWs, across different residential areas. The analysis uses the RAMS method in small-scale residential areas, assessing four evaluation criteria and 15 detailed indicators on a 5-point scale. Carbon absorption by land cover type was calculated based on three categories— agricultural land, forest land, and grassland—using land cover data from Sejong City for 2009 and 2023. Agricultural land decreased from 458,638 tCO2 in 2009 to 249,680 tCO2 in 2023 due to a reduction in agricultural land area. In contrast, forest are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636,189 tCO2 to 1,866,959 tCO2, reflecting a substantial rise in standing timber stock. Grassland also saw an increase from 38,298 tCO2 to 277,036 tCO2 due to the expansion of artificial grasslands resulting from land-use changes in forest areas. The carbon absorption function (F4) was rated the highest at 3.65, indicating that the carbon accumulation and absorption capabilities of village wetlands, such as APWs, surpass other functions. Additionally, the ‘biodiversity and health’ function (F1) received a score of 3.10, while both the ‘water-friendly culture and ecology’ (F3) and ‘water cycle’ functions (F3) scored 3.00, reflecting average performance. Among the 15 detailed indicators, F21 (accessibility and visual openness), F34 (hydrological inundation), F41 (soil organic carbon accumulation), F42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vegetation type), and F43 (surrounding land cover carbon absorption) were rated high in one F2 indicator, one F3 indicator, and three F4 indicators.

목차

1. 서 론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옥,염택욱,구본학. (2024).세종시 토지이용에 따른 탄소흡수능력 변화 및 마을습지 기능평가. 한국습지학회지, 26 (4), 457-467

MLA

박미옥,염택욱,구본학. "세종시 토지이용에 따른 탄소흡수능력 변화 및 마을습지 기능평가." 한국습지학회지, 26.4(2024): 457-4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