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VHI의 모니터링 성능 개선 및 기상학적 요인 변화에 따른 식생 반응의 정량적 평가
이용수 10
- 영문명
- Improving Monitoring Performance of VHI and Quantitative Assessment of Vegetation Response to Meteorological Drought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6권 제4호, 344~355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식생 가뭄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상학적 요인과 식생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기상 변화에 따른 식생 반응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관성 분석을 기반으로 식생상태지수(VCI, Vegetation Condition Index)(즉, 식생의 수분 스트레스)와 열상태지수(TCI, Temperature Condition Index)(즉, 식생의 온도 스트레스)의 상대적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된 식생건강지수들(VHIs, Vegetation Health Indices)을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낙동강 유역 식생의 활동에 대한 기상학적 가뭄의 영향을 가장 잘 설명하는 최적 VHI(VHIopt, optimal VHI)가 제시되었다. VHIopt를 이용하여 기상학적 가뭄이 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하는 생태가뭄상태지수(EDCI, Ecological Drought Condition Index)-VHIopt가 제안되었다. EDCI-VHIopt는 표준강수지수(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VHIopt 사이의 copula 기반 결합 확률 모델을 기반으로 계산되었으며, 이는 기상학적 가뭄에 따른 식생 반응을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그 결과, 낙동강 유역에서의 VCI와 TCI의 상대적 기여도는 월별 및 픽셀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EDCI-VHIopt는 시공간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기상학적 가뭄에 따른 식생 반응에 대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기상학적 가뭄에 따른 식생 반응에 대해 이해하고, 기상학적 가뭄으로 인한 식생 건강성 악화에 대처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o assess vegetation drough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vegetation, and to accurately measure vegetation response to meteorological changes. This study introduced VHIs(Vegetation Health Indices) calculated by applying various weights to asses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VCI(Vegetation Condition Index(i.e. water stress of vegetation) and TCI(Temperature Condition Index)(i.e. temperature stress of vegetation)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this, the VHIopt(optimal VHI) that best explains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drought on vegetation activity in the Nakdong River basin has been presented. The EDCI(Ecological Drought Condition Index)-VHIopt was proposed, which uses VHIopt to monitor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drought on vegetation. EDCI-VHIopt is calculated based on a copula-based joint probability model between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VHIopt, which quantitatively assesses vegetation response to meteorological drought. As a result,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VCI and TCI in the Nakdong River basin varied from month to month and pixel to pixel. The proposed EDCI-VHIopt in this study showed that it can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vegetation response to spatiotemporally varying meteorological drough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ool to understand vegetation responses to meteorological drought and provide a basis for addressing the deterioration of vegetation health due to meteorological drought.
목차
1. 서 론
2. 자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주호 수질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댐 운영계획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의 인과 기반 가뭄 전파 분석
- 남강유역에서의 시설재배지가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 한반도 주요 낙엽활엽수림인 신갈나무군락의 구조적 특성 및 천이 예측
- 비식생 갯벌 표층에서 탄소 저장률 산정 및 영향인자 분석 : 함평만과 순천만
- 섬유여재 여과장치에 의한 건설사업장 흙탕물 처리에 관한 연구
- Effect of Media Type and Number of Dry Days on the Performance of Packed-bed Wetland
- 금강수계 유기물질 분포 및 거동 특성 연구
- 동진강 일대 생태계교란 식물 양미역취(Solidago altissima)의 고밀도 군락 내 중장비를 활용한 제거 효과
- 점봉산 산지 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 특성 및 강우가 군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세종시 토지이용에 따른 탄소흡수능력 변화 및 마을습지 기능평가
- VHI의 모니터링 성능 개선 및 기상학적 요인 변화에 따른 식생 반응의 정량적 평가
-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습지 활용사례 및 정책 개선방향
- Test-Bed 규모의 하이브리드형 인공 습지의 오염저감도 평가
- 복원 초기 우포늪 산밖벌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 도시공원과 도로변 녹지의 식물체 탄소량 비교 및 순일차생산량과 기후요인인 기온과 강수량과의 관계
- 고흥군 산지습지에서의 탄소 저장 및 플럭스의 계절‧공간적 변화 연구
- 국내 피트 치유자원의 활용 및 기준에 관한 연구
- 항생제 오염관리를 위한 인공습지의 연구동향: 계량서지학 분석 및 종합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Evidence for Detecting K/Pg Boundary in Bade Section, Dohuk Area, Northern Iraq
-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Gravity and Magnetic Data for Fe-Mn-Pb Mineralization Prospecting in Jbel Skindis, Eastern High Atlas, Morocco
- 서부 경기지괴 태안지역의 구조 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 고원생대 서산층군의 분포 양상으로부터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