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천광역시교육청학교지원단에 대한 교원의 인식 및 요구사항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chool Support Center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김효은 최혜인 송수원 문영진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7권 제3호, 285~31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학교지원단을 중심으로 학교지원에 대한 교원의 인식과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교육청 관내 초·중등 교원(교장, 교감, 교사)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653명이 응답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원의 62.56%는 학교지원의 의미로 ‘모든 학교가 공통적으로 수행하는 불필요한 업무 경감’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였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학교지원단 업무 지원 유경험자는 21.57%로 나타났다. 이들은 학교지원단의 업무 지원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였으며, 업무 지원 이후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다만, 전체 응답자 가운데 학교지원단 업무 지원 무경험자 78.43%의 절반 이상은 학교지원단의 존재와 역할을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지원단에 대한 요구사항은 대체로 업무 수행을 위한 인력 지원과 행정 지원으로 구분되었으며, 직위별(담임교사, 부장교사, 교장·교감) 지원 희망 업무는 다소 상이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지원단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school support focused on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chool Support Center.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ors (principals, vice principals, and teachers) within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 total of 653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62.56% of respondents prioritized the reduction of unnecessary works commonly assigned to all schools as the primary meaning of school support. Only 21.57% of respondents reported having experience with school support center. Those with experience expressed general satisfaction and positive outcomes from the support received. However, more than half of those (78.43%) without experience in receiving support were unaware of the existence or role of school support center. Second, teachers generally demanded human resource support and administrative assistance from school support center. The desired works varied depending on their position, such as homeroom teachers, department heads, and (vice) principa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school support cent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층적 거버넌스 모델을 적용한 한국의 RISE 체계 분석
- CIPP 평가모형에 근거한 기숙형고등학교 정책 평가
-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가 연계된 저학년 대상 대학 진로교과목 운영의 효과: 대학생 진로역량을 중심으로
- 프랑스 교육행정체제 및 교육감 제도의 특징 및 시사점
- 평생교육 연계협력 사업의 평가준거 개발 연구
- Cooper 등의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한「고등·평생교육지원 특별회계」정책 분석
- 마을교육활동가의 정체성 및 행위자성 형성에 관한 생애사 연구
- 교육에서 글로컬 개념에 대한 고찰
- 구조적 토픽 모델(STM) 분석을 활용한 수업 질 관리 방안 연구: A대학교 경영대학 강의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HiVE]사업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패러독스 현상 연구
- 인천광역시교육청학교지원단에 대한 교원의 인식 및 요구사항 분석
- 계획도시 일반고등학교 설립 과정에서 나타난 입학전형의 쟁점 분석: 혼합 연구 방법 접근
- 인근 지역 학생들은 왜 지방 사립 C대학을 선택하였나
- 대학 상담센터에 대한 재학생 수요 및 인식 연구: 비수도권 B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