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소중고 지리학습의 기초로서 소학교 저학년 ‘생활과’가 갖는 의미와 그 역할

이용수 35

영문명
The Implications and Role of the ‘Seikatsuka (Living Environment Studies)’ as the Foundation for School Geography in Japan
발행기관
한국일본교육학회
저자명
양자연
간행물 정보
『한국일본교육학연구』제29권 제3호, 1~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본 소중고 지리학습에 있어서 소학교 저학년 ‘생활과’가 갖는 의미와 역할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생활과가 신설된 1988년 교육과정, 1차 개정된 1999년 학습지도요령, 2차 개정인 2008년 학습지도요령 그리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17년 학습지도요령을 대상으로 문헌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생활과는 소학교 사회과, 중학교 사회과 지리적 분야, 고등학교 지리역사과의 교과목의 ‘기초’에 위치한다. 이는 다른 교과들에도 적용된 목표 기술 구조 및 ‘보는 법・생각하는 법’의 제시에 있어서 생활과는 다른 과목들의 ‘기초’ 및 기반의 의미에서 제시되고 있다. 둘째, 생활과는 구체적인 활동과 체험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학습자의 사적지리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다면, 생활과는 초등 중학년 이후의 지리학습에도 긍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교과로서 지리학습에 대해 흥미를 갖게 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셋째, 생활과는 소학교 사회과에서 채용하고 있는 동심원적 방법이 아닌 학습자 중심(생활 중심) 교육 내용 조직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는 생활과가 첫 학교 입학 후 접하게 되는 과목 중 하나라는 위치를 통해 학습자의 ‘가까운 지역’으로서 학교를 인식 할 수 있도록 돕는 과목이라는 역할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本研究の目的は,日本の学校地理の基礎として小学校「生活科」がもつ意味とその役割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生活科が新設された平成元年「小学校指導書 生活編」,一 回目の改正である平成11年「小学校学習指導要領解説生活編」,二回目改正の平成20年「小学校学習指導要領解説生活編」,そして現行「小学校学習指導要領(平成29年告示)解説生活編」を対象に文献分析を行った。分析の結果は,以下の通りである。第一に,生活科は,目標の提示方法が小学校社会科,中学校社会科地理的分野,高校地理歴史科とは異なり,それらの科目の「基礎」科目として位置している。第二に,生活科の内容を構成する具体的な活動と体験は,学習者のプライベートジオグラフィー形成に影響を与えている。第三に,生活科は,小学校社会科で「地域」の提示方法として採用されている同心円的拡大法ではなく,「学習者中心(生活中心)教育内容提示方法」を用いている。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implications and role of the 'Seikatsuka' (Living Environment Studies) in Japan as the foundation for school geography. To achieve this purpose,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curriculum (Gakushusidoyoryo, the Course of Study), revised in 2017 from the curriculum established in 1989 when 'Seikatsuka' was first introduc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objectives of 'Seikatsuka' differs from that of primary school social studies, geography field in social studies of lower secondary school and ‘Geography and History’ of upper secondary school, positioning it as a foundational subject for these areas. Second, the concrete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at constitute the content of 'Seikatsuka'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learners' private geographies. Third, the sequence of 'Seikatsuka' emphasizes a 'learner-centred (life-centred) construction method,' rather than the concentric extension method adopted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or presenting geography.

목차

Ⅰ. 서론
Ⅱ. 교과 신설과 3번의 개정에서 본 생활과 교육과정의 특징
Ⅲ. 초중고 지리학습의 기초로서 생활과의 의미와 역할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자연. (2024).일본 소중고 지리학습의 기초로서 소학교 저학년 ‘생활과’가 갖는 의미와 그 역할. 한국일본교육학연구, 29 (3), 1-17

MLA

양자연. "일본 소중고 지리학습의 기초로서 소학교 저학년 ‘생활과’가 갖는 의미와 그 역할." 한국일본교육학연구, 29.3(2024): 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