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인 가구 가정생활 실태 및 요구 조사: 2023년 가족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Survey on Family Life and Needs of Single-Person Households: Focused on Family Center Users in 2023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임정하 김경은 강복정 백지민 이도경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3호, 141~15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23년 전국 가족센터 이용 1인 가구의 가족 생활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가족서비스 참여실태 및 지원 요구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48개 가족센터에서 모집된 1인 가구 105명으로 구성되었다. 1인 가구 생활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가정생활 만족도, 지역사회 참여도, 도움 수혜가능성 인식도, 가정생활의 어려움을 살펴보았다. 가족센터 참여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1인 가구 지원사업에 대한 인지도 및 참여 만족도를 살펴보고, 지원 정책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였다. 기술통계와 t-검증 및 F-검증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1인 가구의 생활실태에서 가정생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7.7점으로 나타났고, 지역사회 만족도와 도움수혜가능성 인식도는 중간치를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는 균형 잡힌 식사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성이나 연령대에 따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가족센터 지원사업 참여실태에서 1인 가구 지원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높았고, 사업 참여 만족도는 20대와 50대가 40대보다 더 높았다. 셋째, 1인 가구 지원 정책 요구에서 20대에서 40대의 경우, 주택안정지원에 대한 요구가 1순위로 나타났고, 50대의 경우, 여가문화 활동지원에 대한 요구가 1순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 가족센터를 이용하는 1인 가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가족센터의 1인 가구 지원사업 운영 및 보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family life, program engagement, and policy support demand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ssociated with family centers across South Korea.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48 family centers, and the current study included 105 adults who met the criteria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he assessment of family life focused on satisfaction, community participation, availability of support, and daily living challenges. The investigation of program engagement and demands for policy support included awareness of, and satisfaction with, diverse programs tailored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ir expressed demands for support.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F-tests.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scored an average of 7.7 out of 10. Community engagement and perceived availability of help were slightly above the median value. The greatest challeng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as maintaining a balanced diet. Overall,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features of family life across gender or age groups. Regarding program engagement, awareness of support program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as higher among women than men, and satisfaction with these programs was higher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50s compared to those in their 40s. In terms of demands for policy support, housing stability support was the top priority for those in 20s to 40s, while family leisure/cultural activity support was most demanded by those in their 50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using family centers nationwide and offers direction for the management and enhancement of support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정하,김경은,강복정,백지민,이도경. (2024).1인 가구 가정생활 실태 및 요구 조사: 2023년 가족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6 (3), 141-158

MLA

임정하,김경은,강복정,백지민,이도경. "1인 가구 가정생활 실태 및 요구 조사: 2023년 가족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6.3(2024): 141-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