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 네트워크를 활용한 가정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Using Language Network: Focusing on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감경원 박미정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3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2015 및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두 시기의 핵심 키워드와 주요 토픽의 변화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두 시기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에서 추출한 키워드로 언어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중심성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핵심 키워드는 ‘가족’, ‘건강’, ‘문제’, ‘해결’ 등,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핵심 키워드는 ‘생활’, ‘선택’, ‘환경’, ‘일상’, ‘변화’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기별로 추출된 6가지 토픽과 함께 비교한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가족’ 및 교과 역량(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과 관련된 내용들이 핵심적으로 다루어졌으며,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는 생활환경 및 일상의 변화, 지속가능한 선택과 관련된 내용들이 보다 강조되고 있었다. 둘째, 고등학교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는 ‘가족’, ‘생활’, ‘안전’, ‘문제’ 등,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는 ‘생활’, ‘가족’, ‘문화’, ‘삶’, ‘복지’ 등의 단어가 핵심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추출된 5가지 토픽과 함께 살펴본 결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가족’과 ‘안전’의 영향력은 다소 감소하고, 생활문화와 디지털 환경, 생활복지와 관련이 있는 내용 요소들의 영향력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 교과 역량, 교수⋅학습 및 평가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2015 and 2022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a using a language network analysis, examining changes in core keywords and major topics between these two periods. Keywords from middle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documents of both periods were used to construct language networks, analyzed using centrality measures and topic modeling. The results follow. First, the core keywords of the middle school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family’, ‘health’, ‘problem’, and ‘solution’, and the core keywords of the 2022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life’, ‘choice’, ‘environment’, ‘routine’, and ‘change’. In addition, a comparison of six topics extracted by both periods revealed tha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ealt with the contents related to ‘family’ and subject competency (prac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s core elements, whil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mphasized changes in living environment, daily life, and sustainable choices. Secondly, the core keywords of the high school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family’, ‘life’, ‘safety’, and ‘problem’, and the core keywords of the 2022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living’, ‘family’, ‘culture’, ‘life’, and ‘welfare’. An examination of the five topics extracted by both periods confirmed that the emphasis on ‘family’ and ‘safety’ decreased and the influence of content related to life culture, digital environment, and life welfare increas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is essential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the next curriculum and offers insights into subject competenc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언어 네트워크를 활용한 가정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가정과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 성인 대상 지속가능한 의생활 수용도 수준에 따른 실천 행동 연구
- 중학교 가정교과 인공지능 활용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가정학 질적연구의 방법론적 양상 및 동향 분석
- 1916년 출판 재봉교과서 『朝鮮服裁縫の栞』 연구
- 여고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1인 가구 가정생활 실태 및 요구 조사: 2023년 가족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중학교 가정 교과의 3D 프린팅 활용 의생활 메이커 교육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 곤충 단백질을 활용한 고령친화식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 요구도 조사
-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목적에 따른 이용 행태 및 변화 유형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