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 남성의 성역할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생성감으로 조절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13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Moderated by Genera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Middle-Aged Men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김학환 장유진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1권 제3호, 105~1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성역할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 가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매개효과가 생성감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0 ~ 59세의 기혼 중년 남성 48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 4.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서표현양가성이 성역할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양가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생성감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성역할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는 생성감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년 남성의 생성감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표현양가성의 부적 매개효과가 더 많이 감소하여, 성역할 스트레스로 인한 주관적 안녕감의 하락을 완화시킴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중년 남성의 보호요인으로서 생성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 및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근거를 제시했다는 데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middle-aged men, and to explore whether this mediating effect is moderated by generativity.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with 480 married middle-aged men aged 40-59 years.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4.2. The results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impa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subjective well-being varied depending on generativity level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contingent upon generativity levels.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generativity among middle-aged men attenuated the maladaptiv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uggesting a mitigation of the decline in subjective well-being due to gender role str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evidence for developing activities and programs aimed at enhancing generativity as a protective factor for middle-aged men.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대상 공감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온라인 대인관계 발달과정과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 그릿과 성장 마인드셋에 따른 정신적 안녕감의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 보드게임 활동이 초등학생의 다중지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분석
- 영유아교사의 대처유연성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분노조절효능감과 불안조절효능감을 매개로
- 중년 남성의 성역할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생성감으로 조절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 인공지능 학습기 기반 멘토링이 취약계층 초등학생의 학습격차 해소에 미치는 효과
- 중학생의 사이버불링에 대한 학교상담사의 대처 경험과 성장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하는 자신의 놀이성: 교사의 평가 및 유아 실행 기능과의 관계
- 알코올중독자의 단주자기효능감과 알코올회복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아동의 표현어휘 지연 예측 요인 연구: 3세 말늦은 아동과 정상 언어발달 아동의 가정환경의 질 차이를 중심으로
- 가정 내 혼돈이 유아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주의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기의 가족 및 또래 상호작용이 학령기 아동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수면의 질이 주의집중 문제와 자아존중감을 통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발달 및 소근육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미술치료연구 제31권 제6호』
- 성소수자 대학원생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자서전적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