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의 가족 및 또래 상호작용이 학령기 아동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22
- 영문명
- The Effects of Famil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on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The Mediated Effect of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하지영 최혜선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1권 제3호, 179~19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기의 가족 및 또래 상호작용 경험이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PSKC)의 6차년도, 9차년도, 1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에 모두 참여한 가구 중 연구변인의 모든 문항에 응답한 977가구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아동의 성별은 남아 492명(50.4%), 여아 485명(49.6%)이었으며, 6차년도 기준 아동의 월령은 평균 62.5개월이었다. 변인들 간의 경로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기의 가족 상호작용과 또래 상호작용은 각각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의 공동체 의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유아기의 가족 상호작용과 또래 상호작용은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고학년 시기의 공동체 의식에 각각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유아기에 가족 및 또래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할수록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고학년 시기에 공동체 의식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세계시민의 자질로서 강조되고 있는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해 초기의 환경적 변인으로서 상호작용 경험과 개인적 변인으로서 자아존중감의 역할을 밝혀내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longitudinal effect of family and peer interactions on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Data from the 6th, 9th, and 11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and data from 977 households were analyzed. The gender of the children was 492 boys (50.4%) and 485 girls (49.6%), and the age of the children was 62.5 month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paths between variables,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First, family and peer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directly influenced the sense of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 Second, family and peer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child's self-esteem. This study demonstrates the role of social interaction experience as an early environmental variable and self-esteem as a personal variable to cultivate a sense of community, which is emphasized as a quality of global citizenship.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대상 공감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온라인 대인관계 발달과정과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 그릿과 성장 마인드셋에 따른 정신적 안녕감의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
- 보드게임 활동이 초등학생의 다중지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분석
- 영유아교사의 대처유연성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분노조절효능감과 불안조절효능감을 매개로
- 중년 남성의 성역할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생성감으로 조절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 인공지능 학습기 기반 멘토링이 취약계층 초등학생의 학습격차 해소에 미치는 효과
- 중학생의 사이버불링에 대한 학교상담사의 대처 경험과 성장에 관한 연구
- 유아가 인식하는 자신의 놀이성: 교사의 평가 및 유아 실행 기능과의 관계
- 알코올중독자의 단주자기효능감과 알코올회복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아동의 표현어휘 지연 예측 요인 연구: 3세 말늦은 아동과 정상 언어발달 아동의 가정환경의 질 차이를 중심으로
- 가정 내 혼돈이 유아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주의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기의 가족 및 또래 상호작용이 학령기 아동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수면의 질이 주의집중 문제와 자아존중감을 통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발달 및 소근육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미술치료연구 제31권 제6호』
- 성소수자 대학원생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자서전적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