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술교과 선택과목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 ‘공학 일반’과목을 중심으로 -
이용수 52
- 영문명
- Recogn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Technology Elective Subject - Focusing on the ‘General Engineering’Subject -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함형인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24권 제2호, 75~9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 일반’ 과목을 수강하는 고등학생의 인식 및 경험을 파악하여 고등학교 기술과 선택과목 운영 방법과 교육과정 개발과정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공학 일반’ 과목을 수강하는 고등학생 6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학생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 일반’ 과목을 선택한 이유는 ‘관련 분야에 관심’, ‘대학 진학과 연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학습량 적정성(3.15), 과목 흥미도(3.78)에 대해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공학 일반’ 과목의 내용 적정성에 대해 ‘기술적 문제해결 수업(4.00)’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공학 일반’ 과목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수준(3.85)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교사의 학습 활동 조직(4.00)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평가내용 및 방법(3.92)으로 응답하였다. 가장 낮은 만족도는 교과서 내용 및 구성(3.55)이었다. 셋째, 학생의 공학 일반’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을 질적 분석한 결과 ‘대학을 가기 위한 전략 짜기’, ‘과목에 대한 정보 부족’, ‘다양한 진로 희망과 수준 차이가 존재하는 수업’, ‘사전 공학프로그램 경험하기’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전면 도입을 앞둔 시점에서 단위 학교 기술교과 선택과목의 운영 방향, 운영 방법, 교육과정 재구성 및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tudents enrolled in high school General Engineering subject and to provide insights for the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future high school technology elective courses. To achieve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618 high school students currently taking General Engineering subject,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student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ir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in reasons for choosing the General Engineering subject were high interest in the related field and connection to college admissions. Additionally, students perceiv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workload as average(3.15) and their interest in the subject as average(3.78). Regard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in the General Engineering subject,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classes scored the highest(3.99), followed by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utilization classes(3.95), and interdisciplinary classes(3.82).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Engineering subject was average(3.85). The organization of the teacher's learning activities scored the highest(4.00), followed by the content and method of evaluation(3.92). The lowest satisfaction was with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textbook(3.55). The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s’ experiences in the General Engineering subject revealed themes such as‘selecting courses for college admission’,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 ‘classes with diverse career aspirations and varying levels of difficulty’ and ‘pre-experiencing engineer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to the direction of operation, methods of operation,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the revision of the next curriculum at a time when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next curriculum is immin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교사의 자녀 양육이 교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예비 교사가 교육 실습 중 경험한 감정적 어려움과 대응 전략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초ㆍ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위(Wee)클래스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