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분석
이용수 256
- 영문명
- Analyzing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rough text mining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진이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6권 제2호, 211~23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2019 개정 누리과정까지 고시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유치원 교육과정 텍스트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R을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 시기별로 중심성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2019 개정 누리과정까지 일관적으로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유아’, ‘교육과정’ 이었으며, ‘유치원’, ‘운영’, ‘발달’도 전반적으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시기마다 강조되는 중심성에 있어 차이를 나타내는 키워드로는 ‘지역’, ‘놀이’, ‘복지’, ‘건설’, ‘부모’가 있었다. ‘지역’ 키워드는 제1차, 제5차, 제6차,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복지’, ‘건설’ 키워드의 경우 제3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놀이’ 키워드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 키워드는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초 교육과정 제정부터 현재 시행되는 교육과정까지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추후 유아교육과정 개정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ext through text min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using R was employed for this purpose, yielding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consistently High-centrality keywords from the 1st kindergarten curriculum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ere ‘child’ and ‘curriculum,’ with ‘kindergarten,’ ‘operation,’ and ‘development’ also showing general centrality. Secondly, keywords reflecting differences in centrality emphasized in each curriculum period included ‘community,’ ‘play,’ ‘welfare,’ ‘construction,’ and ‘parents.’ The keyword ‘community’ showed High-Centrality in the 1st, 5th, and 6th kindergarten curricula and the 2007 revised kindergarten curriculum. The keywords ‘welfare’ and ‘construction’ displayed High-Centrality in the 3rd kindergarten curriculum. Additionally, the keyword ‘play’ showed High-Centrality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keyword ‘parents’ showed High-Centrality in the 6th and 2007 revised kindergarten curricula. This study offers implications for future revision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 a theoretical refer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엄마표 영어’ 담론 분석: 토픽모델링과 감성분석의 적용
- 관찰에 대한 그림그리기를 통해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분석
- 다문화 학습공동체 참여가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
- 어머니-유아 문해상호작용과 유아의 비판적 사고 간의 관계에서 유아 읽기흥미와 공감능력의 순차 매개효과
- 유아사회정서발달 지원교육에 참여한 아버지의 경험과 변화
- 개정 누리과정 실행 및 실천 연구에 대한 내용 탐구
-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