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학습공동체 참여가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40
- 영문명
- The impact of participating in a multicultural learning community on childcare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강재희 문혜련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6권 제2호, 29~4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 학습공동체 참여가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교육역량’측 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수용성의 하위범주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다문화 학습공동체 참여는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다문화교육역량의 하위범주인 지식, 인식, 기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다문화 학습공동체 참여는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다문화 학습공동체 참여가 효과적이라는 시사점을 얻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articipation in a multicultural learning community on childcare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mong childcare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1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S-si, Gyeonggi-do.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measurements tools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paired-sample t-test was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ly, participation in a multicultural learning community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hildcare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subcategories of diversity,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Secondly, participation in a multicultural learning community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hildcare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i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subcategories of knowledge, awareness, and skills. Through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obtained that continuous participation in multicultural learning communities is effective in order to increase childcare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엄마표 영어’ 담론 분석: 토픽모델링과 감성분석의 적용
- 관찰에 대한 그림그리기를 통해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분석
- 다문화 학습공동체 참여가 보육교사의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
- 어머니-유아 문해상호작용과 유아의 비판적 사고 간의 관계에서 유아 읽기흥미와 공감능력의 순차 매개효과
- 유아사회정서발달 지원교육에 참여한 아버지의 경험과 변화
- 개정 누리과정 실행 및 실천 연구에 대한 내용 탐구
-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