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 개발

이용수 287

영문명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scale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유정인 김경철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26권 제2호, 152~185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을 점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지원 역량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어떠한가 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놀이 지원과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의 영역과 문항을 추출하여 50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하여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과 예비연구를 통해 총 40문항의 최종 시안을 완성하였다. 최종 시안에 대해 내용에 기초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적합도와 점이연 측정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이 적합한 문항으로 판단되어 40문항을 최종안으로 확정하였다. 실제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피험자 적합도 수준이 양호했으며, 피험자의 수준과 문항 난이도의 수준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는 정규분포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었다. 내적구조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Rasch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반화에 기초한 타당도 검증 결과 유아교사의 근무 집단에 따라 차별적으로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가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을 적절하게 측정해주는 타당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for assessing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ies in supporting digital play.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are as follow: Firstly, what constitutes the structure of the scale for assessing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ies in supporting digital play? Secondly, what 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scale?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 preliminary set of 50 items was derived from a comprehensive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on digital play support. Content aspect validity verification and a pilot study were conducted, resulting in a refined draft of 40 items. Content aspect validity was assessed through analyses of item suitability and point-bi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s, confirming that all items were appropriate for the purpose. Empirical validity assessments demonstrated satisfactory levels of subject fit and a normal distribution pattern in the levels of subjects and item difficulty. Internal structure aspect validity confirmed the scale's fit with the Rasch model. Generalizability aspect validity testing indicated that the scale did not exhibit differential functioning across various group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results affirm that the scale i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measu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ies in supporting digital pl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정인,김경철. (2024).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 개발. 한국유아교육연구, 26 (2), 152-185

MLA

유정인,김경철. "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척도 개발." 한국유아교육연구, 26.2(2024): 152-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