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의 민사책임에 대한 소고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civil li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발행기관
한국민사법학회
저자명
이수경
간행물 정보
『민사법학』제107호, 225~26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의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은 그 속도나 규모의 면에서 인류사의 어느 시기보다 가장 빠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생성된 자료를 통한 훈련으로 의료용 인공지능의 한계가 극복되는 등, 2012년에 합성곱 신경망 (CNN)으로 이미지처리에 대한 딥러닝이 본격화 된 이래 인공지능 기술은 눈부시게 발달해 왔다. 최근의 로봇의 자연어 처리 발전에 고급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이하 ‘NLP’)를 통하여 인공지능의 활용이 가속화 되고 있다. 이러한 NLP의 활용은 언어가 아무리 복잡하더라도 기계가 데이터를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빠르고 정확한 생성형 인공지능의 발달의 초석이 되었다. 그렇다면 발달의 속도를 멈추지 않는 인공지능, 생성형 인공지능이 활용되는 시대에 인공지능의 활용으로 발생한 손해에 대해서는 인공지능이 가진 생래적인 특성인 예측불가능성과 불투명성을 시작으로 블랙박스 효과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우리 민법의 책임원리에 인공지능의 민사책임을 대입해 보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인공지능으로 인한 불법행위책임을 논의함에 있어서 인공지능의 기술 발달 단계를 고려한 법적 책임을 판단해 보고 ‘약한 인공지능’이라 하더라도 인공지능 개발자에 의하여 창조된, “지배 가능한 위험(Gefahr)에 해당” 될 수 있으며, 모든 유형은 아니더라도 일부에는 무과실책임인 위험책임의 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살펴 보았다. 아울러, 인공지능에 적용가능한 민사책임을 과실책임과 무과실책임으로 나누어 검토하면서, 비교법적으로는 EU의 흐름도 살펴보았다. 그러나 무과실책임에 있어서 제조물책임법을 논의하면서 기존의 제조물책임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표적 사례로서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의약품 제조에 위험책임을 적용할 수 없는지 그 가능성과 시사점을 살펴 보았다. 인류는 현재 가장 빠른 기술의 발달 시대와 폭발하는 빅 데이터의 시대에 살고 있으며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류는 많은 이익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되고 막대한 부가 창출되는 만큼, 민사책임 영역에서의 위험책임의 의미가 더욱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은 이미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혁신적으로 줄여주어 제약회사에는 막대한 이윤을 주는 반면, 기존의 제조물책임법을 적용하더라도 설계상의 결함에 대하여 합리적인 대체가능성에 대한 면책가능성이 있어 피해자의 손해를 적절히 구제하기 어렵다. 생성형 인공지능의 시대, 의약품 제조라는 사례를 상정하여 보다 강화된 위험책임의 적용가능성을 고찰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 recent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bringing about changes at a faster pace and on a larger scale than any other period in human history.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medical AI through training with databases, AI technology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since the inception of deep learning for image processing wi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 in 2012. The recent advancement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have accelerated the utilization of AI through sophisticat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enabling machines to identify and understand data regardless of the complexity of the language. This ha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rapid and precise development of generative AI. In the era where generative AI is being utilized without pausing in its developmental speed, we considered the civil liability of AI in our civil law principles, taking into account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AI such as unpredictability, opacity, and the black box effect. To do this, we first examined the legal liability considering the stages of AI technology development in discussing the tort liability caused by AI. Even “Weak AI,” created by AI developers, may fall under “Gefahr,” and while not all types, some may apply to strict liability in terms of risk liability. Furthermore, while reviewing civil liability applicable to AI under fault-based and no-fault liability, we also looked at the trends in the EU comparatively. In discussing no-fault liability, particularly under the Product Liability Act, we examined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s of applying risk liability to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using generative AI technology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roduct Liability Act. Humanity currently lives in an era of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exploding big data, enjoying numerous benefits due to these advancements. As user convenience improves and massive added value is created through technological progress, the meaning of risk liability in the realm of civil liability can gain more significance. Generative AI has already drastically reduced the costs and time required for new drug development, providing substantial profits to pharmaceutical companies. However, even if the existing Product Liability Act is applied, it may be difficult to adequately remedy the harm to victims due to the reasonable alternative possibility defense regarding design defects. In the era of generative AI,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enhanced risk liability by assuming the case of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목차

I. 서론
II . 인공지능의 특징과 그로 인한 손해
Ⅲ. 인공지능에 적용가능한 민사책임의 분류
Ⅳ. 인공지능의 위험책임 적용 사례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약품제조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경. (2024).인공지능의 민사책임에 대한 소고. 민사법학, (), 225-261

MLA

이수경. "인공지능의 민사책임에 대한 소고." 민사법학, (2024): 225-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