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산⋅경남 중장년층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
이용수 66
- 영문명
- Self-Esteem and Self-Efficacy Based on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People in Busan and Gyeongnam
- 발행기관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조승현 조미림
- 간행물 정보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8권 제1호, 29~3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부산⋅경남에 거주하는 중장년층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대해 알아보고 중장년층 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4년 2월 1일부터 2월 29일까지 부산⋅경남에 거주하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구글을 활용한 온 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69부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 도분석과 기술통계, t검정 및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산⋅경남 중장년층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3.62±0.56점이었으며, 자기효능감은 3.59±0.89점으로 모 두 ‘보통 이상’의 평균값을 보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분 석 결과, 자아존중감은 연령집단(p<.05), 배우자 여부(p<.05), 학력수준(p<.01), 주관적 건강상태 (p<.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연령집단(p<.05), 경제활동(p<.05), 주관적 건강상태(p<.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부산⋅경남 중장년층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건강한 지역사회 프로그램 개발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f middle-aged people living in Busan and Gyeongnam, and to analyze th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people.
Methods : From February 1st to February 29th, 2024, an online survey using Google was conducted for the middle-aged people living in Busan and Gyeongnam. A total of 169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 The average self-esteem of middle-aged people in Busan and Gyeongnam was 3.62±0.56 points, and the self-efficacy was 3.59±0.89 points, showing the average value of 'above norma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ccording to age group(p<.05), spouse status(p<.05), educational level(p<.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p<.01).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ccording to age group(p<.05), economic activity( p<.05), and subjective health status(p<.01).
Conclusion : Based o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esent basic data to support the healthy life of middle-aged people in Busan and Gyeongnam and to help develop healthy community programs considering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rratum: Experiences of community-dwelling frail older adults with diabetes: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 재가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의 삶의 의미 영향요인: 서술적 단면 조사 연구
- 요양병원 간호사의 낙상예방행위 영향요인: 서술적 조사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