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추모에 대한 초기불교적 관점
이용수 55
- 영문명
- Early Buddhist perspectives on social memorialization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이필원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0권, 83~9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적 재난은 단순한 사고나 기술적 재해를 넘어, 인간의 생명과 재산, 국가나 사회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되는 재해로 정의된다. 이러한 재난은 테러, 범죄, 폭력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개인과 대중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사건 발생 후 의 대응 방식, 특히 희생자에 대한 대처는 매우 중요하다. 1989년 영국 힐즈버러 경기장 사고와 2022년 이태원 참사 등과 같은 사례를 통해, 적절하면서도 충분한 대응이 부족하며, 문제의 본질이 이념적 갈등으로 변질되는 경우를 보게 된다. 이는 현실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의도적인 문제 왜곡의 결과이며, 결국 사회적 갈등과 비용 증가 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불교에서는 연민(karuṇā, 悲)과 정견(正見)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해결이란 재난이 일어난 후, 그 후유증을 효과적으로 치유하고, 나아가 다시는 그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우리의 의식을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재난에 대한 사회적 추모와 치유가 제대로 이 루어져야, 우리 사회는 안정을 되찾고 피해자는 일상의 삶으로 돌아갈 수 있다. 특히 사성제를 기반으로 한 사무량심을 통해 우리는 사회적 재 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ocial disasters are more than just accidents or technological disasters, they are defined as disasters stemming from a variety of causes that affect human life, property, and the stability of a country or society. These disasters can take many forms, including terrorism, crime, and violence, and have a profound impact on individuals and the public. How we respond after an event, especially how we treat victims, is crucial. In cases such as the 1989 Hillsborough stadium disaster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2022 Itaewon tragedy in South Korea, we see a lack of adequate and sufficient response, and the nature of the problem becomes an ideological conflict. This is the result of a misperception of reality and intentional distortion of the problem, which in turn leads to social conflict and increased costs. In Buddhism,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through compassion and right view. Resolution is about effectively healing the aftermath of a disaster and changing our consciousness to prevent it from happening again. When the social memorialization and healing of a disaster is done properly, our society can regain stability and the victims can return to their daily lives. In particular, we can effectively respond to social disasters through four immeasurable states of mind based on the Four Noble Truth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사성제와 사무량심을 통한 사회적 재난과 추모의 문제 접근 방식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