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음치유의 고향: 숲과 명상시의 치유적 상관성

이용수 49

영문명
The essence of healing mind: healing correlation between forest and meditation poetry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백원기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0권, 17~2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숲과 명상을 기반으로 한 명상시가 심신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숲은 인류가 누려왔던 삶의 원천적 터전 이자 고향이다. 그래서 자연[숲]은 인간을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게 지혜의 힘을 가지고 있다. 특히 숲에서 나오는 다양한 피톤치드 (phytoncide)와 산색, 새소리, 물소리, 바람소리 등 자연의 모습과 소리는 오감을 편안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래서 숲과 교류하는 것은 ‘참 나’의 의미를 찾는 좋은 방법일 뿐만 아니라 번다한 마음을 진정시키고 몸을 이완하는 최적의 심신치유의 공간이 되고 있다. 현대인들이 숲을 찾아 ‘외부의 풍경’뿐만 아니라 ‘내 안의 풍경’을 함께 성찰하며 번다함과 탐욕을 잠시나마 내려놓고 단순함과 비움을 통해 내면을 치유 하고자 하는 것도 이런 이유이다. 따라서 숲과 명상의 조화로운 관계에서 빚어진 불교적 사유의 ‘명상시’는 현대인들의 불안과 갈등, 스트레 스 등을 극복하고 관조와 비움, 상호 소통과 공감의 어울림으로 이끌게 함은 물론 모든 생명존재가 연기적 관계에 있음을 깨닫게 하고, 나아가 미래 세대가 내일을 꿈꾸고 긍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하는 하나의 시그니처가 되어 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uddhist meditation poetry produced on the basis of forests and meditation on mental and physical healing. Forests are the source and home of life that mankind has enjoyed so far. So nature[forest] has the power of wisdom to bring man back to his true self. Especially, various phytoncides emitted from the forest, and the appearance and sounds of nature: mountain colors, birds, water, wind, etc. have the function of relaxing the five senses. Actually, interacting with the forest is not only a good way to find the meaning of "true self" but also calms down the complicated and unsettling heart of people. In this vein, the forest becomes the best space for mental and physical healing. Today, many people visit the forest and reflect not only on the “outside landscape” but also on the “inner scape” together.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y want to let go of greed for a while and heal the inner side through simplicity and emptiness of the forest. Therefore, the meditation poetry of Buddhist thought arising from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forest and meditation is one of the alternatives to overcome stress and promote a sense of solidarity of harmony, communication, empathy, contemplation and emptiness. It makes us realize that all things arise by dependence on something else. Furthermore, it will become a signature that allows future generations to dream of tomorrow and live a more positive lif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숲 명상’과 문학치유의 관계성
Ⅲ. 숲 명상 기반의 불교적 ‘명상시’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원기. (2023).마음치유의 고향: 숲과 명상시의 치유적 상관성.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17-29

MLA

백원기. "마음치유의 고향: 숲과 명상시의 치유적 상관성."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23): 17-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