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선불교 명상 프로그램 초심자의 참여 경험 연구: 심연명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25
- 영문명
- A study on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Seon(禪) Buddhism meditation program beginners: focusing on abyssal meditation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염중섭(자현)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0권, 31~4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선불교 명상 초심자들을 대상으로 선불교 명상에 기반 한 심연 명상의 과정과 경험이 어떠한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처음 선불교 명상을 접한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비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고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 다. 결과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선불교 명상 초심자의 선불교 명상 프로그램을 통한 첫 번째 선불교 명상 경험, 선불교 명상 초심자의 선불교 명상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변화 경험의 2개의 영역을 중심으로 6개 범주와 25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요 범주를 살펴보면, 첫째, 선불 교 명상 초심자의 첫 번째 선불교 명상 경험에 대해 살펴본 결과, ‘첫 번째 선불교 명상을 통한 심연 경험’, ‘첫 번째 선불교 명상을 통한 긍정적 경험’, ‘첫 번째 선불교 명상을 통한 명상의 어려움 경험’의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선불교 명상 초심자의 선불교 명상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변화경험에 대해 살펴본 결과, ‘선불교 명상을 통한 심연 경험의 변화 ’, ‘선불교 명상을 통한 긍정적 경험의 변화’, ‘선불교 명상을 통한 명 상의 어려움 경험의 변화’의 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선불교 명상 기반의 심연명상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기존의 동아시아의 전통 명상을 현대의 요구에 맞춘 대안적 인 방법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abyssal meditation based on Zen meditation for beginners in Seon(禪) Buddhism meditation. Method: This study conducted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40 people who first encountered Seon(禪) Buddhism meditation, and then analyzed them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y consensu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6 categories and 25 subcategories were derived, centering on two areas: the first Seon(禪) Buddhism meditation experience of Seon(禪) Buddhism meditation beginners through the Seon(禪) Buddhism meditation program and the change experience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Seon(禪) Buddhism meditation program of Seon(禪) Buddhism meditation beginners. Looking at the main categorie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irst Seon(禪) Buddhism meditation experience of Seon(禪) Buddhism meditation beginners,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Abyss experience through first Seon(禪) meditation’, ‘Positive experience through first Seon(禪) Buddhism meditation’, ‘Experience the difficulty of meditation through first Seon(禪) Buddhism medit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perience of change through Seon(禪) Buddhism meditation beginners’ participation in the Seon(禪) Buddhism meditation program,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Changes in Abyss Experience through Seon(禪) Buddhism Meditation’, ‘Changes in Positive Experiences through Seon(禪) Buddhism Meditation’, ‘Changes in Meditation Difficulty Experiences through Seon(禪) Buddhism Medit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esented the traditional East Asian meditation as an alternative method tailored to modern needs by confirming the effect of Abyssal Meditation based on Seon(禪) Buddhism meditation.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