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부친밀감 매개효과 -
이용수 2
- 영문명
-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n Female Immigrants′Marit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lntimacy
- 발행기관
- 21세기사회복지학회
- 저자명
- 전동혁 이수진
- 간행물 정보
- 『21세기사회복지연구』제18권 제1호, 51~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런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도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 222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서 사회적 편견과 적대감은 부부친밀감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의사소통문제와 문화적 충격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친밀감은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서 사회적 편견, 적대감은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의사소통문제와 문화적 충격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사회적 편견은 부부친밀감을 매개한 매개효과는 유의한 부(-)적인 완전매개영향, 적대감은 부부친밀감을 매개한 매개효과는 유의한 부(-)적인 완전매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의사소통문제와 문화적 충격은 부부친밀감을 매개하여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marriage immigrant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i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of analyzing 222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prejudice and hostility negatively affected marital intimacy on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communication problems and cultural shocks did no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arital intimac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d a positive (+) effect on marriage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prejudice and hostility had a negative (-) effect on marriage satisfaction in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communication problems and cultural shocks did not affect marriage satisfaction. Fourth, social prejudice against the cultural response stres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and complete mediating effect, while hostility had a negative and complete mediating effect, communication problems and cultural shocks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