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리직업훈련생의 직업선택 동기가 취업 의도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Effect of Job Choice Motivation of Cooking Vocational Trainee on Employment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발행기관
- 21세기사회복지학회
- 저자명
- 이우숙 전태숙
- 간행물 정보
- 『21세기사회복지연구』제18권 제1호, 25~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리직업훈련생의 직업선택 동기가 취업 의도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조리직업훈련생 114명을 대상으로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 교육수준은 정적인 영향, 월수입은 취업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성별, 나이 자녀 수, 자격증, 훈련 참여 기간은 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선택 동기에서 자질 및 적성, 조리산업 특성, 근무특성, 창업 동기는 취업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육수준, 월수입, 성별, 나이 자녀 수, 자격증, 훈련 참여 기간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선택 동기에서 조리산업 특성(, 근무특성, 창업동기는 창업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자질 및 적성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job selection motivation on employment intention and start-up inten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4 culinary traine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education level had a positive effect, and monthly income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inten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gender, age group, number of children, certification, and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did not affect employment inten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quality and ap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intention in job selection motiv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oking industry, labor characteristics, and start-up motivation. Third, in the influ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 startup intention, it was found that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gender, number of children, certification, and training participation period did not affect startup inten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oking industry (work characteristics, start-up motivation) in job select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tart-up intention, while qualifications and aptitud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tart-up int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