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중양상 이중언어의 학습이 청인대학생의 음성언어와 제스처의 사용에 끼치는 영향
이용수 75
- 영문명
- Impacts of Learning Impacts of Learning a Bimodal Bilingual Language on the Usage of Spoken Language and Gesture among Hearing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신홍임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5권 제1호, 21~3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음성언어사용자가 한국수어를 동시에 학습할 때, 이중양상 이중언어의 학습이 음성언어와 제스처의 사용에 끼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1에서는 대학의 수어수업 또는 독일어수업을 수강한 이후 학생들의 제스처 사용의 변화가 있는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학의 수어수업을 수강한 청인대학생 39명 중 87.2%가 이전 학기보다 수어와 연관된 제스처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연구 2에서는 수어를 배우고 있는 청인대학생 참가자 17명(실험집단)과 수어를 배운 경험이 없는 청인대학생 참가자 19명(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컴퓨터 화면에 제시되는 물체에 대한 시공간정보의 소통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에서 통제집단보다 물체의 시공간정보를 더 자세하게 언어적 및 비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이중양상 이중언어의 학습이 단일양상(시각->시각)뿐만 아니라 이중양상(시각->청각)의 언어생산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bimodal bilingual learning has meaningful influences for visual-spatial information communication, by examining hearing Korean native speakers that are learning Korean sign language. Study 1 measured changes in the use of gestures by students after taking sign language classes at the university. According to the results, 87.2% of hearing sign language learners (n = 39) felt that they gestured more after one semester of sign language instruction when speaking Korean. In Study 2, hearing sign language learners (n=17, experimental group) and nonsigners (n=19,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and tested to describe each displayed picture on a computer scree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used more picture descriptions with semantically specific information than nonsigner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used gestures more often than the control group. T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iconicity of sign language can contribute to specific language production both in motoric gestures (visual -> visual) and in speech (visual -> audia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