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AI 기반 적응형 학습 플랫폼(ALEKS) 사용 만족도 및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 연구

이용수 11

영문명
A Study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us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ALEK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하오선 김수영 고은선 박찬규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4권 제1호, 249~27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AI기반 적응형 학습 플랫폼 활용에 대한 만족도 및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AI기반 적응형 학습 플랫폼(ALEKS)를 활용한 경영통계 교과목을 수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 분석에 128명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IBM SPSS 2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 검정과 F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주관식 문항은 word cloud 및 유형별 빈도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AI 기반 적응형 학습 플랫폼에 대해 내용, 개인화, 사용자 편의 순으로 만족했다. 둘째, AI 기반 적응형 학습 플랫폼 활용 수업만족도와 관련해서 학습자는 교수자의 지원(학습활동 점검, 피드백 제공 등), 조교지원(플랫폼 안내, 문제해결 등)에 대해 평균보다 낮게 평가했다. 셋째,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과 관련해서 자신의 수준을 파악하는데 가장 도움이 되었지만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동기를 높이거나 학습진도를 포기하지 않고 따라가도록 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했다. 넷째, AI 기반 적응형 학습 플랫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수업만족도와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다섯째, AI기반 적응형 학습 플랫폼활용 수업에 만족하는 이유는 ‘다양하고 충분한 문제 제공’, ‘수업 후 자기주도적으로 학습 가능’, ‘맞춤형 학습 가능’, ‘개인의 학습내용 및 성과 확인 가능’으로, 불만족하는 이유는 ‘새로운 플랫폼 사용의 어려움’, ‘많은 과제량으로 인한 공부 시간 증가’, ‘플랫폼의 활용 전략의 문제’로 요약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학습자는 ‘시스템’과 ‘수업설계 및 운영’ 측면에서 개선을 요구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AI기반 적응형 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I 기반 적응형 학습 플랫폼을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적용하기보다는 개별 대학에 맞게 유연하게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AI 기반 적응형 학습 플랫폼 활용 수업을 고려하여 수업 설계 및 운영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성과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다양한 변인을 포함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learning outcomes regarding the use of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s. Method: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e business statistics course utiliz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ALEKS), and data from 128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F-test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22.0, and the subjective items were presented as word clouds and frequencies by type. Results: Firstly,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in the order of content, personalization, and user convenience. Secondly, in relation to class satisfaction associated with the use of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learners rated the support from instructors (monitoring learning activities, providing feedback, etc.) and assistant support (platform guidance, problem-solving, etc.) lower than the average. Thirdly, concerning the perception of learning outcomes, the platform was most helpful in understanding their own level, but it was relatively lowly rated in terms of sparking interest, increasing learning motivation, and encouraging them to keep up with the learning progress without giving up. Fourthly, those who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class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learning outcomes than those who were less satisfied. Fifthly, the reasons for satisfaction with the classes utiliz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included ‘provision of diverse and sufficient problems’, ‘ability to learn independently after class’, ‘ability to personalize learning’, and ‘ability to confirm individual learning content and outcomes’. The reason for dissatisfaction were summarized as ‘difficulty in using a new platform’, ‘increase in study time due to a large amount of assignments’, and ‘issues with the utilization strategy of the platform’. Lastly, learners demanded improvements in the aspects of both the ‘system’ and ‘course design and oper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AI-based adaptive learning in universitie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lexible application options that are tailored to individual universities rather than apply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uniformly. Secondly, adjustments in course design and operation are required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classes utiliz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platform. Thirdly, further research including various variables is necessary for an in-depth discussion on learning outcom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오선,김수영,고은선,박찬규. (2024).대학생의 AI 기반 적응형 학습 플랫폼(ALEKS) 사용 만족도 및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 연구. 교육혁신연구, 34 (1), 249-273

MLA

하오선,김수영,고은선,박찬규. "대학생의 AI 기반 적응형 학습 플랫폼(ALEKS) 사용 만족도 및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 연구." 교육혁신연구, 34.1(2024): 249-2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