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활동에 대한 경험 탐구

이용수 14

영문명
Experiences Inquiry of Teachers’ Activities in Implementing the Play-based Curriculum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문유빈 최혜윤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4권 제1호, 169~19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경험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활동에 관해 관심이 있고 고민하고 있는 6인의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3년 7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심층면담 18회에 걸쳐 면담 전사 자료와 교사들의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기록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활동에 대해 구조가 있고 교사의 주도성이 강하다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이미지들이 있었으나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면서 활동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정 전에는 놀이와 활동을 대립적인 관계로 보는 인식이 강했지만,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면서 교사들은 놀이와 활동이 이분법으로 나뉠 수 없음을 느끼고 있었다. 한편, 교사들은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활동을 해도 괜찮은지 활동 자체에 대한 망설임을 보이기도 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가운데 교수학습으로서 활동의 의미와 방법을 다양하게 해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필요한 순간에 활동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활동은 놀이 지원하기, 유아 지원하기, 배움 지원하기의 3가지 측면에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활동이 다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하면서 놀이와 활동을 연속적이고 얽혀있는 관계로 바라보아야 하며, 교사들이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 활동을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폭넓은 관점에서 안내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배움의 내용을 고려하며 활동을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 그 실천방법에 대한 깊은 사유를 토대로 교사의 적극적인 활동 실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activities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 play-based curriculum. Method: This study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six teachers who were interested in the activity.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July 2023 to October 2023,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18 in-depth interviews and various records related to teachers’ activities over 18 in-depth interviews.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general images that activities had a structure and teachers took strong initiative, however, the perception of their activities appeared to change as they implemented the revised Nuri-curriculum. In particular, before the revision, teachers viewed play and activity as opposing concepts, but teachers felt that play and activity could not be divided while implementing the revised Nuri-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eachers also showed hesitation about if it would be right to engage in the activity itself. Second, teachers interpreted the meaning and methods of activities diversely as part of teaching and learning, while carrying out a play-based curriculum. Based on this, they were effectively utilizing activities at appropriate moments. In this process, activities had meanings in three aspects: supporting play, supporting children, and supporting learning. Conclusion: Play and activity should be viewed as a continuous and intertwined relationship while fully understanding that activities have diverse values. It also indicates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guidance on the role of teachers as facilitators in a broad perspective so that they can operate their activities smoothly as the main agent of the curriculum. In addition, it is required that teachers need to actively engage in practicing their activities based on deep reflection on how to perform activities considering the contents of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유빈,최혜윤. (2024).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활동에 대한 경험 탐구. 교육혁신연구, 34 (1), 169-198

MLA

문유빈,최혜윤.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활동에 대한 경험 탐구." 교육혁신연구, 34.1(2024): 169-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